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원 산불을 키운 범인은?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바람이 없을 때 산불은 화염이 높지 않고, 분당 약 0.57m의 느린 속도로 이동했다. 그러나 바람이 초당 6m로 불 때는 화염이 높아지고, 분당 최대 15m까지 번지는 것으로 관찰됐다. 이는 바람이 없을 때와 비교해보면 26배 이상 빠른 것이다. 이번 고성·속초 산불을 키운 원인으로 ... ...
- [SW 진로체험]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영상만든다!수학동아 l2019년 05호
- 관련 공부를 계속했죠. 석사과정 때 제가 다니던 학교가 모팩과 산학 협력으로 영화 ‘7광구’를 함께 만들어 저도 VFX 작업에 참여하게 됐어요. 이 일이 인연이 돼 모팩에 입사해 관련 업무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VFX 작업에는 어떤 수학이 필요한가요?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를 ... ...
- [어벤져스:엔드게임] 타노스 핑거 스냅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05호
- 2018년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8년 인류에게 필요한 지구의 수는 약 1.7개로, 현재 인류가 사용하는 자원의 양이 지구의 생태용량을 넘어섰다. 즉, 현재 인류는 지구가 감당할 수 있는 양보다 많은 양의 탄소를 배출하고, 많은 양의 물과 자원을 소비하며 살고 있다. 특히 한국은 1인당 생태용량 ... ...
- [중국유학일기] 책 660만 권 보유한 우한대 도서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예약이 자동으로 취소된다. 다만 점심 식사(오전 11시~오후 1시)와 저녁 식사(오후 5~7시) 시간에는 1시간 동안 나갔다가 들어와도 예약이 취소되지 않는다. 도서관은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 30분까지 개방되며, 시험 기간에는 1층을 24시간 개방한다. 사실 우한대 도서관의 기본 시설이 그다지 우수한 ... ...
- 나라를 구한 의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이어지고 있어요. 이 외에도 많은 의사들은 공중위생에 앞장섰고, 그 결과 평균수명이 33.7세(1926~30년)에서, 37.4세(1931~35), 45.1세(1941~45년)까지 점점 높아졌답니다 ... ...
- 블랙홀 첫 직관, 여전히 궁금한 5가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가스가 모두 빛의 속도로 달리고 있다고 가정하면, 지름이 큰 M87*을 한 바퀴 도는 데 4.7일, 그보다 지름이 작은 Sgr A*를 한 바퀴 도는 데는 단 4분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를 지구에서 관측한다면 블랙홀 아랫부분에서 나타난 빛이 반 바퀴를 돌아 위쪽으로 사라지는 과정을 M87*에서는 2. ... ...
- [수학뉴스] 인공지능의 수학 실력, 1+1+1+1+1+1+1=6?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더한 값을 계산하도록 했습니다. 그런데 1이 6개로 늘어날 때까지는 정답을 잘 맞히더니, 7개가 되자 엉뚱한 답인 6을 내놓았습니다. 사람은 1이 하나씩 증가할 때마다 답할 수도 하나씩 커진다는 사실을 쉽게 추론하는데, 인공지능은 사람처럼 규칙을 찾고 일반화하지 못 했던 것입니다.이번 연구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빈 깡통의 화려한 변신 캔 캔 두 잇(Can can do it!)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때와 있을 때의 졸음 상태를 체크했어요. 이때 진동수는 차에서 발생하는 것과 비슷한 4~7Hz(헤르츠. 1초 동안 진동하는 횟수를 가리키는 단위)였지요. 그 결과, 진동이 있는 상태의 운전자들은 더 쉽게 졸음을 느꼈답니다. 진동은 선박에서도 골칫거리예요. 선박들은 주로 프로펠러를 사용하는데, ... ...
- 포도알 먹지 마세요, 전자레인지에 돌려 보세요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유튜브에 ‘포도 전자레인지(grape microwave)’를 검색하면 플라스마 발생 동영상이 7만 개 이상 뜬다. 그런데 왜 전자레인지에 포도를 넣고 돌리면 플라스마가 만들어지는 걸까. 최근 아론 슬렙코브 캐나다 트렌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와 파블로 비아누치 콘코디아대 물리학부 교수가 이끄는 ...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있다. ‘물리학계의 무서운 신동’으로 불렸던 미국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원소가 137번까지만 존재할 것이라고 예상했고, 러시아 출신 미국 물리학자 알베르트 카잔은 지금까지 발견된 원소와 그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155번이 마지막 원소가 될 것이라고 2009년 주장한 바 있다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