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워렌 버핏도 빠졌다! 필승 주사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버핏의 집으로 초대합니다. 버핏과 주사위 게임 대결을 벌여 단 한 번이라도 이기면 상금 100억 원의 행운을 거머쥘 수 있습니다. 단 게임에서 지면 재산의 50%를 내놔야 합니다. 그렇다고 치열한 두뇌 싸움을 벌이자는 게 아닙니다. 온전히 운에 맡기는 주사위 게임을 하시겠습니까?▼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2. 주사위로 즐기는 마방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처음부터 여러분의 재산을 빼앗을 생각이 없었습니다. 저는 상금으로 준비한 100억을 기부합니다. 저와 뜻을 함께 할 분은 단 돈 1000원이라도 기부해 주세요! 또 알면 이기고 모르면 지는 비이행성 주사위를 직접 만들어 보세요! 아직 누구도 발견하지 못한 수학의 독특한 성질을 발견할 수도 ... ...
- [가상인터뷰] 개코원숭이도 “아에이오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기니개코원숭이’를 분석했어요. 기니개코원숭이는 꼬리 길이를 포함한 몸길이가 100cm 내외로, 몸무게가 40kg을 넘지 않아 개코원숭이 중에서 가장 작다고 알려져 있지요.연구팀은 기니개코원숭이 총 15마리의 구강과 울음 소리를 조사했답니다. 우리의 혀 모양과 근육을 분석한 결과, 모음을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안에 전자를 가둔다.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아주 강한 자기장(문구점에서 파는 자석보다 100배쯤 강한)을 걸어 준다. 그러면 전자는 개별적으로 행동하기를 멈추고 분수 양자 홀이라고 불리는 특이한 집단적 상태로 재조직된다. 운동장에 수천 명의 학생이 마구잡이로 뛰어 놀다가, 어떤 신호를 받는 ...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불과한 두께이면서 같은 크기에서 비교할 때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도가 세고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한다. 게다가 투명하고 구부러지기까지 해 ‘꿈의 물질’로 불린다. 하지만 그래핀의 실용적인 가능성만 너무 부각돼 양자물질로서의 가치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그래핀을 만드는 과정. ... ...
- Part 1. 역설의 정체를 밝혀라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부분의 길이는 무시한다.) 세 번째 문제 감자 튀김을 판매하는 햄버거 가게 주인이 감자 100kg을 샀는데, 감자의 수분 함유율이 99%였다.이후 감자가 말라서 수분 함유율이 98%가 됐다. 이때 감자의 무게는 대략 얼마나 될까?우리가 몰랐던 세 가지 역설역설적인 문장 또는 역설에 관한 문제는 많은 ... ...
- [과학뉴스] 스마트폰 패턴잠금, 슬쩍만 봐도 해킹?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있었다. 한번에 알아맞힌 비율은 패턴이 쉬울수록 낮았고(60%), 패턴이 어려울수록 높았다(100%). 연구를 주도한 랭캐스터대 컴퓨터및커뮤니케이션학부 왕쟁 교수는 보도자료를 통해 “민감한 정보를 패턴잠금으로 보호하는 것은 실제로 매우 위험하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며 “짧고 단순한 패턴을 ...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윌리엄스는 설명했다. 개체가 첫 돌을 맞았을 때 발현되는 치사유전자 A와 개체가 100살이 됐을 때 발현되는 치사유전자 B가 있다고 하자. 자연 선택은 전자를 후자보다 훨씬 더 빠르게 솎아낼 것이다. 치사유전자 B의 경우, 그 존재감(?)을 드러내기 이전에 다른 이유로 벌써 죽은 개체들이 부지기수일 ... ...
- [Career] 건강장수의 비밀, 초백세시대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최대 100세로 보고 있었기 때문에, 죽기 직전에 가까운 신체조건을 연구하기 위해 100세 내외의 장수인을 찾아 나섰던 것”이라고 말했다. 2001년의 일이었다.‘안티에이징’가고, ‘복원’의 시대 온다한국의 백세인들을 만나면서 박 교수는 연구 관점을 완전히 바꿨다. 죽음에 가까울 거라 생각했던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산화탄소는 생애주기가 80~100년이기 때문에 오늘 당장 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여도 효과는 수십 년 뒤에 나타날 것이다. 회의론자들은 기후 예측 모델이 온난화를 과대평가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린첸 교수는 32개의 연구 그룹이 102개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