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나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쭝국
중국문학
문학
중화
d라이브러리
"
중국
"(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세종 때 간행 된 의서(醫書) 당시의 동양의학백과사전이라 할 만한 이 의서는 조선과
중국
의 의서 153종을 집대성하여 모든 병증들을 병문으로 나누고 각 병문에 대한 고금의 약방(藥方)들을 원문 그대로 취사선택해 게재했다 담즙산의 하나 담즙산과 같은 모핵구조(母核構造)를 가졌고 곁사슬은 ... ...
자외선과 형광안료가 빚어낸 색채의 향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형광으로 보인다. 이 원리를 이용한 극장이 바로 블랙시어터다. 블랙시어터는 과거
중국
황실에서 유래해 유럽으로 전파됐고 현재 체코 프라하에만 100여 개가 있다. 제1막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드는 착시의 힘공연의 막이 오르자 푸른 형광빛 날개를 단 배우가 공중으로 서서히 날아오른다. 무대의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손가락의 길이, 손의 두께가 모두 다르단다.지문 속으로 고, 고!지문은 아주 오래 전
중국
에서 사용되었지만 현대적으로 지문이 이용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아. 1823년 체코슬로바키아의 실험생리학자인 푸르키네가 지문이 사람마다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지문을 신분 증명 수단으로 활용할 수 ... ...
한반도 수호천사 COMS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관측하기에 안성맞춤이다. 6시간 간격으로 바뀌는 밀물과 썰물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중국
양쯔강 연안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이동하는 과정, 남해의 적조가 확산되는 모습까지 감지할 수 있다. 기름띠와 타르볼 움직임도 알아낸다지난 여름 남해안에서는 사상 최악의 적조가 발생했다. 전남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펌프 및 수은압력계에 연결한다 결정형을 나타내기 위해 나우만이 고안한 기호 홍적세에
중국
일본 등 매머드 분포 범위의 남쪽에 접하는 온대 북부지역에 서식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석거상(化石巨象)1927~ 미국의 생화학자 플로리다 대학, 미시간 대학 졸업 후 1957년 미국립보건연구원(NIH)에 ... ...
'팔방미인' 독도의 속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다름없다. 독도의 해양미생물을 연구하고 있는 최동한 박사는 “흙 1g 속에는 13억명
중국
인구보다 많은 미생물이 존재하지만 현재까지 발견된 종은 전체의 1%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최근 독도사업단은 독도 주변의 바닷물과 독도에 서식하는 갈조류의 뿌리에서 새로운 미생물 6종을 찾아냈다. 이 ... ...
옥(玉) 가는 데 말(言)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것. 그 결과 대만에서 채굴돼 만들어진 펭티안 옥이 기원전 500년부터 기원후 500년까지 남
중국
해안을 따라 이 지역들로 퍼져나간 사실을 밝혔다. 흥 교수는 “펭티안 옥의 무역 경로로 밝혀진 지역이 오스트로네시안어족 사용 지역과 일치한다”며 “펭티안 옥을 팔고 사던 상인들이 언어도 함께 ... ...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대량으로 생산하는 미생물을 만들기 위해 유전자를 설계하고 있는 것. 이외에도
중국
사막지대에서도 잘 자라는 고성장 식물을 만들기 위해 가뭄에도 잘 자라게 하는 유전자부품을 이용해 유전자 회로를 만들 예정이다.합성생물학 기술이 꿈꾸는 가까운 미래를 가상으로 꾸며봤다. 여러 가지 ... ...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건물은 명나라 모원의가 편찬한 ‘무비지’나 곽자장의 ‘성서’, 윤경의 ‘보약’ 같은
중국
의 병서를 참고했다. 화성 건축 마스터플랜, ‘화성성역의궤’명나라로 귀화해 등옥함이라는 이름을 얻은 스위스 과학자 요하네스 테렌츠가 지은 ‘기기도설’도 거중기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됐다.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박테리아들이 스스로 군집을 나누며 특정 방향으로 늘어서는 ‘DNA 스위치’를 설계한
중국
북경대 팀에 돌아갔다.물론 설계한 미생물을 실제로 만들어낸 팀은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이들의 연구는 지구에 이미 존재하는 생명체의 유전자 일부를 변형시키는 이전의 유전공학과는 차원이 다르다.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