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공로로 2015년 노벨화학상을 공동으로 수상했다. 2월에는 크릭 연구소의 ‘노른자’ 위치 때문에 오히려 문제가 생겼다. 교통이 너무(?) 좋은 나머지, 연구소 바로 옆에 광역철도 ‘크로스레일’ 2호선 공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2018년 개통 예정인데 벌써부터 공사 현장으로부터 전자기파가 ...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있는 느낌이 든답니다. 여기에 센서와 가속도계, 나침반이 게임기를 착용한 사람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해 움직이는 방향이나 시선에 따라 렌즈에 보이는 화면을 맞춰 보여 준답니다.어때? 28년이라는 시간 동안 이렇게 큰 변화가 있었다니 참 신기하지? 이번에 본 기사 내용을 엄마, 아빠와 함께 ...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각기둥과 각뿔 요리하며입체도형탐구하기 (중등)작도로 즐기는 하트 모양디자인수학동아 l2016년 01호
- 하트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정사각형 안에 대칭이 되도록 반원을 다양한 위치에 그린 다음 잘라낸다. 앞쪽과 같은 방법으로 두 기본도안을 직각으로 엇갈리도록 끼워 넣으면 여러 가지 무늬의 하트 모양을 만들 수 있다. 몇 가지 예시를 학생들에게 보여 준 다음 학생들이 자신만의 ... ...
- [News & Issue]왜소행성 세레스, 혜성처럼 행동한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소행성대에 위치한 왜소행성 세레스에서 최근 혜성의 특징이 발견돼 과학자들이 일대 혼란에 빠졌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던(Dawn) 탐사선은 2015년 3월 세레스에서 주위보다 밝게 빛나는 부분을 130군데 이상 발견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팀은 이 밝은 부분을 분석한 결과 ‘소금기가 있는 ...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다운과 비교해 얼마나 따뜻한지 알아보기 위해 떨리는 마음으로 11월 30일, 서울 용두동에 위치한 한국의류시험연구원을 찾았다.“현재 기술로는 인공충전재가 천연 다운을 절대 따라갈 수 없습니다.”정성원 섬유시험본부 연구원이 잘라 말했다. 도착한 지 10분도 안돼 던진, 첫 질문에 대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사물함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자동으로 전송해 준답니다. 덕분에 사용자는 사물함의 위치와 비밀번호를 일일이 외우고 다닐 필요가 없어졌지요.[센서를 컴퓨터에 연결해 만든 컨트롤러로 게임을 즐기는 모습.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로스 미첼 교수팀은 그 전에 있었던 초대륙이 현재의 세계 대륙과 전혀 다른 위치에서 생겼다가 쪼개졌음에 주목했다.그래서 암석의 자기 정보를 관찰했다. 그리고 지금까지 나타났던 초대륙이 일정한 각도에 따라 움직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초대륙의 중심이 움직인 경로를 선으로 ... ...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같을 때 ‘레벤스타인 거리’가 0이라고 표현한다. ‘abc’와 ‘abd’를 비교하면 세 번째 위치의 알파벳만 서로 다른데, 이것은 레벤스타인 거리가 1이다. ‘abc’와 ‘bca’를 비교하면 구성하고 있는 알파벳은 같지만,순서 배열이 완전히 다른 단어로 레벤스타인 거리는 3이다. 이 알고리즘은 ... ...
- [소프트웨어]앱으로 나를 소개하자!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담아 디자인을 해 보세요. 버튼의 종류와 개수를 원하는 대로 바꾸고,사진과 함께 위치를 정해 보세요.❷화면에 버튼과 사진을 추가하기이제 디자인한 대로 화면에 버튼과 사진을 추가해 보세요.(1) 버튼 추가하기 ▲ 팔레트에서 Button을 드래그해 뷰어로 가져갑니다. ▲ 속성에서 Button 안에 들어갈 ... ...
- [News & Issue]3.35m 점프하는 메뚜기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뛰어오르는 원리를 모방했다. 사막 메뚜기는 뒷다리를 몸 쪽으로 구부려 관절이 있는 위치에 고정한 뒤, 순간적으로 관절과 다리의 굽힘근을 펼쳐 뛰어 오른다. 다리와 관절에 저장했던 에너지를 매우 빠른 속도로 방출시키는 것이 핵심이다.연구팀은 3D 프린터로 만든 로봇의 몸체에 전기 모터를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