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프로젝트] 코딩 지니, 1부터 1000까지 영어로 썼을 때 사용한 글자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그래서 이번 호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수를 어떻게 읽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여러분은 숫자 ‘1’을 어떻게 읽나요? ‘일’ 또는 ‘하나’, ‘첫째’ 등 다양한 단어로 읽을 수 있습니다. 모두 1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수학에서는 주로 한자어인 ‘일(一)’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10진법에 맞춰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17년에 미국 FDA, 2018년에는 EMA의 승인을 받아 판매 중이다.의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간의 여러 질병에 대한 해결책이 마련되고 있지만, 여전히 암과 다수의 난치성 질병들은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연구되는 가운데, 인간을 갉아먹는 악으로만 여겨졌던 ...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알려진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사실 정이십면체 모양을 하고 있다. 캡소미어들이 여러 방식으로 연결돼 정이십면체를 만든다. 구제역바이러스의 경우 단백질 세 개가 모여 정삼각형 모양의 소단위체를 만들고, 이 소단위체 20개가 모여 정이십면체 구조를 만든다. 정이십면체는 5종류의 정다면체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T림프구나 B림프구와 동일 계통에 속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행동은 딴판이었다. 이후 여러 연구를 거쳐 이 세포의 정체는 림프계 전구세포에서 분화한 자연살해세포로 밝혀졌다. 자연살해세포는 간이나 골수, 림프절, 비장, 편도선, 흉선에서 성숙해 혈관을 순환하며, 림프구 중에서는 가장 크다 ...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니피그의 MHC를 발견했다. 스넬과 마찬가지로 유전적으로 비슷한 기니피그를 여러 계통으로 만들고, 합성된 항원을 기니피그에 주입하며 도움 T림프구의 반응을 관찰했다. 도움 T림프구는 MHC와 상호작용해 외부 물질을 구분했다. 이 실험을 통해 베나세라프는 도움 T림프구의 반응을 결정하는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질병 완화에 효과가 있는 돌연변이 유전자만 선별해 이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로 여러 질병에 대항할 신약을 만들기 위해 계속 연구했다. 2018년 8월 보이틀러는 선천 면역반응 단계에서 TNF 생성을 조절할 수 있는 10만 개의 화합물 합성 라이브러리를 얻었다. 그리고 여기서 찾아낸 디프로보씸 ... ...
- [만화뉴스] 팬데믹, 에피데믹! 그게 뭐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잃었다”며 “코로나19가 팬데믹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고 말했어요. 팬데믹은 여러 대륙 국가에서 감염병이 동시에 대유행하는 현상을 의미해요. 최근 팬데믹과 함께 뉴스에 종종 등장했던 ‘에피데믹’은 전염병 피해가 특정 지역에만 퍼지는 현상을 의미하지요. 한편, 문화체육관광부와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그리고 무엇보다 그 바이러스가 인간의 면역시스템을 효과적으로 회피해야 하는 등 여러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이처럼 바이러스는 숙주에 대한 의존도가 굉장히 높은 삶을 산다. 이는 숙주에 침투해 증식할 수만 있다면, 숙주가 어느 환경에 살든 바이러스 또한 그곳에서 살 수 있다는 뜻이기도 ...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가설도 세워봤지만 결국 증명하지 못했다. 나중에 밝혀진 실패 원인은 HPV가 워낙 여러 종류의 유전자가 존재하는 바이러스였기 때문이었다. 참고로 지금까지 밝혀진 HPV의 종류는 130여 가지다. 1979년 추어하우젠이 이끄는 연구팀은 HPV 6형과 11형의 DNA를 확인했다. 그리고 1983년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내성을 획득한다. 또 박테리아(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항생제는 한 종류를 사용하더라도 여러 박테리아에 대해 효과를 보이지만, 항바이러스제는 대부분 한 종류의 바이러스에만 효과를 나타낸다.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와 달리 세포 내부로 침투해 숙주의 효소로 증식하기 때문에 인체에 부작용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