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d라이브러리
"
안정
"(으)로 총 3,456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의 혼돈이 만든 초소형 레이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혼돈 공진기에서 혼돈이 클수록 레이저의 단방향성도 커졌고 출력의 강도도 일정하게
안정
됐다. 이처럼 찌그러진 레이저 방정식 코드를 풀 수 있는 곳은 세계적으로 일본 국제전기통신기초기술연구소(Advance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의 하라야마 그룹과 김 교수팀뿐이다. 빛을 타고 ...
그대에게 바치는 가을 보약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free radical)을 제거해 인체의 산화작용을 억제한다는 것이다.자유 라디칼은 일종의 불
안정
한 산소 찌꺼기라고 생각하면 된다. 인체 세포에는 수많은 종류의 대사작용이 일어나고 이에 따른 부산물이 만들어지는데, 그 중 하나가 이른바 활성산소라 부르는 자유 라디칼이다. 자유 라디칼은 세포를 ... ...
화학나라 참살이시의 시장은 바로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공은 특별히금빛으로 제작되었다.우황청심환은 겉을 금박으로 코팅한다. 이는 금이 신경
안정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동의보감의 처방에 따른 것이다. 시민 여러분! 시장으로서 가장 필요한 자질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능력도 능력이지만 처음의 마음가짐을 변치 않고 지키는 것 아니겠습니까? ... ...
충돌 은하에서 암흑물질의 비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말 천문학자들은 우리 은하를 비롯한 몇몇 은하가 눈에 보이는 물질의 중력만으로는
안정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어떤 빛도 내지 않지만 질량을 가진‘암흑물질’이 우주에 널리 퍼져 있을 것이라 추측했다. 그러나 암흑물질은 보이지 않아 관찰할 수 없을뿐더러, 눈에 ... ...
인터넷 거래를 위한 일회용 비밀번호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점성률이 0인 완전유체를 비롯하여 경계층에서의 소용돌이의 발생이나 흐름이 불
안정
하여 난류(亂流)가 생기는 데까지 광범위한 현상에 응용되고 있다하나의 정곡선(定曲線)이 나사선적 운동(定直線의 둘레에 일정한 角速度로 회전하면서 그 정직선의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운동)을 할 ... ...
분자 세계에선 1+1=4?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없다.왜 그럴까? 원자 궤도함수(오비탈)의 특성상 탄소의 사중결합은 구조적으로 매우 불
안정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굳이 어렵게 설명하지 말고, 한번만 더 억지를 부리고 넘어가자.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가 삼차원이기 때문에 사중결합으로 이뤄진 ${C}_{2}$를 발견할 수 없다고.만약 사중결합으로 ... ...
공항 보안검색 책임지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명명에 의함)라고 한다 가암모니아산화의 생성물은 니트릴이 산화에 대하여 비교적
안정
하기 때문에 주로 니트릴이다 공학적으로 이용되는 예는 메탄에서 시안산, 프로필렌에서 아크릴로니트릴(→소하이오법), 톨루엔에서 시아노벤젠 등이 있다 경수형 동력로(輕水型動力爐)의 하나 저농축(低濃縮) ... ...
3. 빛보다 빠르게 우주를 누비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실제로 우주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이미 자연히 존재하는 웜홀 외에 필요한 곳곳에
안정
적인 웜홀을 건설해야 한다.이제 스타트렉에서 또 다른 주요 주제인 시간여행에 대해서 알아보자. 일상경험에서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의 순으로 흐르며 우리는 현재란 시간에 머문다. 과거는 기억으로만 남을 ... ...
태권V 몸 속엔 뭘 담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위해 지속적으로 연료를 공급할 필요가 없는 소형 핵융합로를 생각할 수 있다. 동력을
안정
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보조 배터리도 달아야 하며 움직임이 적은 몸통에 두는 것이 좋다.머리에는 조종석을 만드는 것이 좋다. 로봇이 인간처럼 직관적으로 행동하도록 조종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시각과 ... ...
2. 모양은 같아도 기술은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발돋움했고, 지난해 11월에는 12만km에 이르는 시험운행을 통해 고속열차의 신뢰성과
안정
성을 확보했다.한국형 고속열차는 프랑스 알스톰이 제작해 현재 운행 중인 KTX를 훌쩍 뛰어넘는 새로운 모델이다. 새 고속열차에는 KTX 시스템보다 우수한 첨단 기술이 적용됐다.우선 최고속도가 시속 350km로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