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다르다”고 단언했다. 안건우 독자위원은 “양자역학은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니, 이번 기회에 과학동아에서 잘 알려주면 좋겠다”고 했다. 양자전송의 원리는 뭔지, 그럼에도 순간이동이 어려운 이유가 뭔지 궁금한 독자들을 위해 다음 기사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 ...
[뉴스&인터뷰] 다누리가 쏘아 올릴 작은 공, 달 착륙기지 결정할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가본적이없는길을가야하기에 실패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죠. 누구나 실패를 하고 실
수
를 하면 그 길에서 벗어나고 싶어지죠. 그렇기에 여느 분야보다 더 큰 꿈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우주는 그 어느 분야보다 개인의 꿈이 크게 발현되는 공간입니다. 항공우주를 꿈꾸는 과학동아 ... ...
[이그노벨상] 똥과 오줌의 과학에 용감히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호기심이며, 그 열정에서 모든 탐구가 시작되는 것이라고. 마지막으로 패트리샤 양 교
수
에게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관해 물어보았다. “이그노벨상을 받은 후부터 주변 사람들이 제게 자꾸 이상한 똥에 관한 소문을 알려줘요. 최근에는 흰개미가 육각형 똥을 눈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연구 소재로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주를 헤엄치는 해파리의 정체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칸트는 우리 우주가 어쩌면
수
많은 은하들이 섬처럼 떠있는 거대한 바다와 같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는 그런 우주를 일명 ‘섬 우주(Island Universe)’라 불렀다. 그의 통찰이 어쩌면 오늘날의 해파리 은하 연구로 이어지는 첫 단추였을지도 모르겠다. ※필자소개지웅배. 고양이와 우주를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하지만 인구학자가 그리는 정해진 미래는 항상 틀려왔습니다. 우리도 미래가 바뀔
수
있도록 변화할 사회의 모습을 고민해야 합니다. 저는 늦지 않았다고 봅니다 ... ...
‘진짜 산학협력’ 해보고 싶다면.... 창원대로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인공지능 분야 등에서 ‘비교과 프로그램’(학점은 부여하지 않지만 취업에 도움이 되는
수
업)도 많이 운영하고 있다. 비교과 프로그램을 들은 기계공학과 4학년 학생이 창원 스마트산업단지에서 취업에 성공한 뒤 후배들에게 직접 교육을 하기도 한다. 진정한 의미에서 산학협동이 이뤄지는 ... ...
[특집] 도시를 움직일 전기 어떻게 생산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사막 한가운데 유리로 만들어진 초고층빌딩의 냉방 및 공기 순환에는 엄청난 양의 전기가 필요합니다. 이뿐만 아니라 스마트팜에 쓰이는 LED 역시 모 ... 촉매를 통한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수
증기에서
수
소를 얻을
수
있다”라며 그린
수
소 생산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음을 강조했어요 ... ...
[4컷 만화] 필름 붙이자 한겨울에도 식물이 쑥쑥!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식물에 따라 광합성에 최적화된 빛을 만들어 농업 및 임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유로퓸 : 화학 원소로 기호는 Eu, 원자 번호는 63이다. 자외선 아래에서 붉은색을 띈다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그 모습이 잘 안 보여요. 하지만 적외선으로 관측하면 먼지를 투과해 자세히 볼
수
있지요. 작년 크리스마스에 발사된 인류의 가장 강력한 적외선 망원경인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황소자리에서 새로운 별이 탄생하는 모습을 포착했습니다. 퀴즈!별이 탄생하기 전 먼지 구름에 덮여 있는 천체를 ... ...
[헷갈린 과학] 두 눈이 오른쪽? 왼쪽? 가자미VS넙치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이때 유안부와 무안부의 색도 달라져요.넙치와 가자미는 우리나라 연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친숙한 물고기예요. 화가 나서 옆으로 흘겨보는 눈 모양새를 ‘가자미눈’이라고 표현하고, ‘넙치 눈이 작아도 먹을 것은 잘 본다’라는 속담도 있답니다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