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속"(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로 예상치 못한 좌충우돌 남극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의사, 담당 항해사와 승조원 모두 마스크, 방호복과 장갑을 착용한 채 33℃의 무더위 속에서 선원들을 맞이했습니다. 열이 나는지도 확인하고요.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이 있지만, 선원들의 수줍고 반가운 인사를 통해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하늘길이 막힌 답답한 상황에 아라온호가 있어 ... ...
- [가상인터뷰] 유리개구리의 위장 비결, 윤곽 흐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A.안녕? 나는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 사는 유리개구리(Centrolenidae)야. 주로 습한 산속을 좋아해. 내 피부가 유리처럼 투명해서 붙여진 이름이지. 유리개구리들은 등과 다리의 윗부분은 반투명한 녹색이지만, 배 쪽은 투명해서 장기와 혈관을 훤히 볼 수 있어. 내 몸길이는 약 2.5cm로 청개구리와 ... ...
- 내 ‘TMI'를 들어볼 테야? 둠칫둠칫 ‘움짤’ 완전정복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진화 *용어정리 TMI : ‘너무 과한 정보(Too Much Information)’의 준말.짤방 : 인터넷 공간 속에서 돌고 도는 ‘자투리 이미지 파일’을 통칭하는 말. 원래는 ‘짤림 방지’의 줄임말로, 사진 전문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진을 올리지 않으면 글이 삭제되는 규정 탓에 누리꾼들이 글과 상관없는 이미지를 ... ...
- 두근두근, 움짤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사진 속 농구 선수가 앞으로 나와 걷거나 뛰어 오르지요. 포토 웨이크업은 사진 속 인물을 평면 사진에서 입체 모형으로 바꿔서 이 기술을 구현해요. 원본 사진에는 보이지 않던 신체 부위를 만들기 위해서예요. 연구팀은 컴퓨터가 자동으로 인물을 팔과 다리 등 부위별로 쪼갠 다음 골격과 관절의 ... ...
- [헷갈린 과학] 비숑프리제 VS. 몰티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달라요. 또, 빽빽한 속털과 부드러운 겉털이 모두 있는 비숑 프리제와 달리 몰티즈는 속털이 없어 털이 차분한 것이 차이점이랍니다.몰티즈의 기원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어요. 하지만 지중해 몰타(Malta)섬에서 유래해 ‘몰티즈’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어요. 몰티즈는 온순한 성격에 나이가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초강력 드라이아이스 펀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둘 생기는 것 같소. 오랜만에 친구들을 만나니 굉장히 반갑지 않소? 그래도 아직은 생활 속 거리두기를 지켜야 하니, 친구들과 과학 영상을 볼 때엔 한 화면에 모여서 보지 말고, 영상의 링크만 공유해서 따로 보는 것이 좋겠소! ● 초강력 드라이아이스 펀치! 조회수 603만회 채널명 : SUSHI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돌리고~돌리고, DIY 원심분리기 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검출하는 시약을 뿌리면 약 45분 뒤 세균의 농도에 따라 시약의 색이 바뀌기 때문에 소변 속에 세균이 얼마나 있는지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죠. 연구팀이 개발한 진단용 스피너의 가격은 개당 600원 정도에 불과해요. 조윤경 교수는 “소변을 이용한 세균 검사는 주로 선진국의 현대적인 실험실에서만 ... ...
- 지구의 기록, 바닷속에서 추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올해 꼭 북극을 가야 해요(웃음). Q북극을 연구하는 이유는 뭔가요? 북극권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기상은 북극에 큰 영향을 받아요. 북극은 작은 환경의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이 지역을 연구해 다가올 기후 변화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지요. 또, 얼음이 점점 녹아 사라지면서 ... ...
- 과학동아가 파헤친다, 2021 수능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힘든 음식을 먹으면 우리 몸은 위장 근육의 활동을 폭발적으로 늘리게 됩니다. 혈액 속 영양분과 산소가 위장에 집중되는 만큼 뇌로 올라가는 혈액량은 줄게 되고 뇌의 산소 포화도가 낮아지며 식곤증이 발생합니다. 초등학교 6년, 중·고등학교 6년, 12년간 공부한 결과를 보여 줘야 하는 수능. ... ...
- 당신의 역사에 관한 최신 연구 총집합...정자가 난자를 만나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98/rspb.2020.0805피츠페트릭 교수는 “이번 연구는 여성의 파트너 선택이 수정 단계에서도 계속된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난자와 정자의 상호작용 연구는 수정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의 원인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경아 차의과대 의생명과학과 교수는 “난포액은 난자를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