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스페이스 임파서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데 성공한 로제타의 이야기를 1파트에서 소개한다. 태양계 초기 생성조건을 밝히고, 물과 생명의 기원을 알아내기 위해 인류는 불가능해 보이는 작전들을 계획하고 있다. 로제타는 그 시작에 불과하다. 믿기 힘든 다음 계획, 소행성 납치 프로젝트를 2파트에서 소개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직전에 말예요. 과학자들이 열심히 분석하는 중인데, 벌써 유기분자가 발견됐다고 해요. 생명의 기원인 아미노산도 발견할지 궁금하네요. 가장 중요한 임무를 마친 필래는 기나긴 잠에 빠져들었어요. 필래가 다시 일어날 수 있을까요? 과학자들은 고개를 저어요. 태양 가까이 다가갈수록 추리에게서 ...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올 여름, 전 세계를 뒤덮은 ‘에볼라 공포’는 지금도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는 에볼라로부터는 아직 안전하지만,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나 2009 ... 수수께끼를 조금씩 풀어내고 있다. 미래에는 병으로 죽는 사람이 없도록 수학이 우리의 생명을 지켜줄 수 있을지 기대해 본다 ... ...
- 똑 소리 나는 교관 ‘대충하지 마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달린 종을 치기 위해서 어디로 올라가야 할까?미션3 나는 최고 명사수, 사격훈련“군인의 생명은 소총이다! 지금부터 자기 총이 정확히 맞도록 영점 조절을 하겠다!”총이 정확하게 발사되도록 맞추는 일을 영점 조절이라고 한다. 세 발을 쏜 다음, 세 발을 선으로 잇고 그 정 가운데에 점을 찍는다. ... ...
- INTRO. 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우리를 ‘초신성의 후예’라고 불렀다. 초신성이 폭발하면서 남긴 물질이 지상 모든 생명체를 이뤘다는 뜻에서다. 하지만 어디 물질만 그럴까. 우리가 쓰는 에너지 치고 별빛과 태양빛에서 오지 않은 게 없다. 우리는 초신성의 후예일 뿐 아니라 별과 태양의 자손이기도 하다. 최근 인류는 대담한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있다.소행성 자체에 대해서도 연구할 수 있다. 내부는 어떤 성분으로 이뤄져 있는지, 생명의 기원이 될 유기물도 들어있는지, 지구 에 충돌한다면 어떤 피해를 입힐지 등 연구할 거리는 무궁무진하다. NASA의 차기 유인우주선 오리온 호가 소행성을 포획한 우주선과 만나 그곳에서 연구를 하거나, ... ...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플랑크톤은 바퀴벌레와 비슷하게 생겼다. 반면 식물 플랑크톤은 선이나 원에 가까웠다. 생명공학자가 꿈인 백승헌(광주 과학고 1) 군은 스프링 모양으로 구부러진 스피룰리나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스피룰리나는 기지에서 연구하고 있는 미세조류였다. 승헌 군은 “학교 한 학기 다니는 것보다 값진 ... ...
-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작가진이 탄탄해지면서, 과학자조차 깜짝 놀라게 하는 작품 나오기 시작했다. ‘멸종: 생명진화의 끝과 시작’이 대표적이다. 같은 이름의 EBS 다큐 프라임을 토대로 한 이 책의 저자는 PD와 대중과학저술가이다. 이들 중 대학에서 생물을 공부한 사람은 아무도 없지만, 책의 내용과 깊이는 전문가들을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공동연구를 시작했다. 처음엔 의대로 진학한 이 소장이 의사의 길을 계속 걷지 않고 생명과학자로 돌아선 이유도 물어봤다. “의대 다니면서 암기가 정말 싫었어요. 그나마 당시 배운 유전학은 암기가 필요 없더라고요.” 그는 또 “의대에 간 것은 아버지의 권유였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병원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5년 3월 고려대에 부임해 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Y의 몰락PART 1.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PART 2.Y가 사라진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