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로봇배달원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디지트를 언제부터 택배 기사로 고용할지 정확히 밝히지는 않았지만, 디지트를 공동 개발한 어길리티 로보틱스는 “디지트를 약 2020년부터 상용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답니다 ... ...
- [출동!기자단] 퍼즐로 로봇, 공룡까지? 규즐 체험관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몸통을 모두 가릴 만큼 거대했거든요. 큐즐은 2017년, 한국디자인사이언스연구소에서 개발한 초대형 3D 퍼즐이에요. 가장 큰 퍼즐 조각은 가로 길이가 37cm에 달할 정도로 커다랗지요. 그러면서도 큐즐은 처음 보는 어린이도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설계됐어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4가지 ...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성과는 시계 태엽처럼 딱딱 맞춰서 움직이지 않는다. 연구개발(R&D)의 성공 뒤에는 쉽게 세기 힘들 정도로 거듭된 도전과 실패가 쌓여있다. 그래서 이듬해 성공할 것이라는 예상이 적중하면 더 큰 박수를 보낸다. 물론 단지 늦는다는 이유로 무조건 비난하는 일도 없다. 내년, ...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폭발시켰을 때와 같은 폭발력을 가진다. 역사상 가장 강한 핵폭탄은 옛 소련이 1961년 개발한 ‘차르 봄바(Tsar Bomba)’라는 핵폭탄인데, TNT로 환산했을 때 무려 50Mt의 폭발력을 가졌다.단순히 생각하면 아이스맨이 핵폭탄을 충분히 막을 수 있을 것 같다. 핵폭탄의 열을 빼앗아 얼려버리면 그만이니까.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처음 만난 건 내가 우주비행을 한 지 얼마 되지 않은 2010년경이었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우주생명의학연구소 책임자이자 국제우주대학(ISU)의 방문교수였던 그와 ISU 교육프로그램에서 함께 강의를 한 것이 계기였다. 그는 첫 만남부터 친근했다. 겉으로는 성격이 나와 반대인 것 ...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그거 알아? 컴퓨터공학자나 물리학자만큼 수학자도 양자컴퓨터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는 것!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지 소개해줄게. 양 ... 수 있다고 하니 어쩌면 국내 연구팀이 만든 암호가 선정될 수도 있어. 양자컴퓨터가 개발되기 전에 미리 새로운 암호 체계를 컴퓨터에 넣어둬야겠지 ... ...
- 수동의 크리스마스 교통지옥 돌파기, 빅데이터 히어로가 탄생하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꽉 막힌 도로, 빵빵대는 자동차, 보행자 가득한 횡단보도! 크리스마스 이브를 맞은 도심은 온통 분주하고 정신이 없다. 이 상황 속에서 우리의 주인공 수동은 오늘 꼭 가야만 하 ... 교수), 김이식(YISHAN LINKS 대표이사), 이준호(LH 스마트도시개발처 차장), 이형길(LH 스마트도시개발처 과장 ... ...
- [매스미디어] 겨울왕국II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모아나’ 제작에 참여하며 실제보다 더 생생한 파도를 만드는 ‘APIC 알고리듬’을 개발했어.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근삿값을 찾아 역동적인 파도를 나타낼 수 있게 한 거야. 기존에 쓰던 알고리듬은 물방울의 속력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는데, 새 알고리듬으로 물방울을 격자로 옮겨 더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1시간 내외로 고속 충전이 가능하고, 1000회 이상 충·방전할 수 있는 수준까지 개발됐다.리튬이온전지의 뒤를 이을 차세대 이차전지로는 나트륨이온전지와 전해질이 고체인 전고체전지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 교수는 “차세대 이차전지 후보들이 아직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효율이 떨어지는 ... ...
- 노트르담 지킴이, 소방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로봇 한 대가 등장하며 상황이 달라졌어요. 바로 프랑스 로봇 회사 샤크 로보틱스에서 개발한 소방 로봇 ‘콜로서스’였지요. 콜로서스는 약 300m 떨어진 곳에서도 조이스틱으로 조종할 수 있고, 250m 앞까지 세게 물을 내뿜을 수 있어요. 1분에 약 2500L의 물을 뿜어낼 수 있지요. 또 물과 불에 강한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