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06
환경은 이제 세계적인 수준인데 창의성을 키우는 분위기는 아니기 때문이다. 적어도
대학
에 왔다면 시험과 상관없이 끈질기게 파고들어야 하는데 인터넷만 뒤져 답만 찾는다는 것이다.“과학을 하겠다는 친구라면 큰 문제에 도전해 보세요. 성과는 금방 나오지 않겠지만 인생을 반복하며 사는 건 ...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6
했고요.하지만 백두산은 사화산도, 휴화산도 아닌 활화산이랍니다.미국 매사추세츠공과
대학
교 에릭 헤틀란드 박사는 1998년부터 2년 동안 백두산 지하에서 발생하는 지진파를 분석해 봤어요. 지진파는 암석이나 마그마처럼 어떤 물질을 통과하느냐에 따라 통과하는 속도가 달라진답니다. 그랬더니 ... ...
게보린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06
진행 전 과정은 학회에 전적으로 일임하고 신뢰와 객관성을 얻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학
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는 2002년 PPA 유해논란 당시에도 조사를 진행한 경험이 있다. 박병주 교수는 “PPA 사례 때 3년 걸린 연구를, 그것도 미국이 6년에 걸려 나온 결과를 이번에 1년 안에 끝내라니 무리일 듯 ... ...
노벨상 수상자와 함께 나만의 열정 찾다
과학동아
l
201106
강연이 이어졌다. 후버 소장이 단백질 구조 연구를 하게 된 계기도 특이하다.“
대학
시절 제 취미는 광물을 모으는 것이었습니다. 특히 뚜렷한 육각형 모양의 빨간 석류석을 좋아했죠. 어느 날 문득 석류석의 내부 구조를 들여다보고 싶었습니다. 구조를 볼 수 있는 방법은 당시 ‘X선 회절법’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06
의대에 들어갔다(미국은 의학전문
대학
원 체제다). 의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그는
대학
병원에 남아 임상의로 환자들을 돌봤다.발암유전자에서 암 억제유전자로그의 환자 가운데 백혈병에 걸린 4살짜리 아이가 있었다. 아이의 아버지는 병에 대해 그에게 여러 질문을 했지만 그는 자신이 암의 본질에 ... ...
나만의 공부법부터 점검하라
과학동아
l
201106
없어. 싫어하는 것도 필요하다면 해야지. 그렇게 노력하는 자세가 중요해.” 내가 만약
대학
교수라면 어떤 학생을 뽑을지 한번 상상해보자. 하기 싫다고 안하는 학생을 뽑고 싶을까? 하기 싫더라도 꼭 해야 되는 일이 있다면 책임감 있게 마무리할 수 있는 학생을 뽑지 않을까? “선생님이 보기에 ... ...
상위권은 수시 논술이 당락 결정
과학동아
l
201106
환경생태공학부 등의 중하위권 학과다. 과학논술 지구과학 포함 대부분의
대학
들이 논술고사 선발인원을 축소한데 반해, 고려대는 논술고사로 선발하는 일반전형에서 작년과 같은 1386명을 선발한다. 작년과 달라진 점은 일반전형에서 우선선발 비율을 50%에서 60%로 확대하고, 우선선발 ... ...
INTRO 위대한 오디션 나도 수학이다
수학동아
l
201106
대한민국이 오디션 열기에 푹 빠졌다. 가수를 넘어 아나운서와 배우를 선발하는 오디션까지 등장했다. 합격과 탈락의 갈림길 아래에는 치밀한 수학이 흐르고 있다. 최종 우승자를 가리기까지 긴장감을 놓을 수 없는 수학 속으로 빠져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위대한 오디션 나도 수학 ... ...
PART 1 오디션에 숨어 있는 3가지 수학
수학동아
l
201106
최종 결선 진출자는 교집합 원소전 국민 오디션 시대다. 지난해 방영된 슈퍼스타K2의 열기는 위탄으로 이어지면서 일반인이 스타가 되는 과정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신인 가수를 선발한다는 공통점 속에 위탄은 멘토가 가수 지망생을 가르치는 과정을 덧붙였다.슈퍼스타K2는 두 차례의 지역예 ... ...
음악 들으면 기분이 좋아지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6
성취했을 때 뇌에서 나와서 기쁨을 느끼게 주는 신경전달물질이랍니다.캐나다 맥길
대학
교 심리학과 로베르 자토르 교수팀은 사람들에게 음악을 들려준 뒤, 사람의 뇌 속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장치로 촬영을 했어요. 그 결과 사람이 음악을 들으면 학습과 기억을 담당하는 뇌의 부위인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