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쾌활
명랑
활동
행동
실행
활기
원기왕성
스페셜
"
활발
"(으)로 총 489건 검색되었습니다.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삵의 인공수정
2020.12.12
채취했습니다. 채취한 정액을 현미경 재물대에 올리자, 연결된 모니터에 수많은 정자가
활발
하게 움직이는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연구원은 정자가 든 관에 영양액과 정자를 얼지 않게 하는 부동액을 넣어 냉동하는 법을 보여주었습니다. 스미소니언 동물원 연구원들이 레서판다의 정액을 ... ...
13~14일 밤하늘 소행성이 남긴 별똥별 쏟아진다
2020.12.11
유성우를 보기 최적의 환경이다. 국제유성기구(IMO)는 올해 쌍둥이자리 유성우가 가장
활발
한 13일 저녁부터 14일 새벽 사이 시간당 최대 150개의 유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발표했다. 유성은 저녁보다는 새벽에 더 잘 보인다. 유성우는 본래 하늘이 어둡고 사방이 트인 곳이라면 특별한 장비 ... ...
한인 최초 미국수학회 부회장에 오희 예일대 석좌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12.09
부임했다. 2015년부터 예일대 석좌교수로 재직중이다. 오 교수는 미국수학회에서도
활발
한 활동을 수행했다. 2012년 미국수학회 초대 석학회원(펠로)으로 선정되고 2015년 한국인 처음으로 미국수학회가 탁월한 여성 수학자에게 수여하는 '새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2015년부터 3년간 미국수학회 ... ...
AI로 부활해 신곡 부르는 가수들…축복일까 논쟁의 시작일까
연합뉴스
l
2020.12.07
AI로 부활시켜 신곡을 부르는 모습을 구현해냈다. 미국에선 이미 홀로그램 공연이
활발
하다. 2012년 코첼라 페스티벌 무대에 전설적 래퍼 투팍이 홀로그램으로 생생히 나타나 놀라움을 안겼고, 마이클 잭슨의 빌보드 뮤직 어워드(2014년) 등장, 휘트니 휴스턴 홀로그램 투어 등이 이어졌다. 정민재 ... ...
하늘 위 실험실 성층권 풍선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4
남극에서 성층권 풍선 실험장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에서 성층권 풍선 관련 연구가
활발
하지 않은 이유다. 지난 2018년 이관중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이 ‘스누볼’이라는 과학실험용 성층권 풍선을 개발하고 비행과 해상회수 시험에 성공했지만 이후 국내에 뚜렷한 성과는 없는 ... ...
레이더 핵심 부품 집적회로로 만들어 크기와 무게 확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단점이 있다. 이런 이유로 최근 각 장치를 집적회로로 만들어 부피를 줄이려는 연구가
활발
하다. 연구팀은 고출력에도 잘 견디는 질화갈륨(GaN)을 이용해 기존 송·수신 장치에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커다란 서큘레이터를 집적회로로 만들었다. 이 집적회로 안에는 안테나와 연결된 스위치 회로가 ... ...
[인간 행동의 진화] 사주명리학의 운명
2020.11.15
그러나 양력으로 셈하는 것은 좀 이상하다. 그레고리오 13세는 원숭이띠인데, 원숭이띠는
활발
하고 재주가 많단다. 역시 그래서 새로운 달력을 만드는 재주가 있었던 것일까. 좀 수고스럽지만, 음력으로 띠를 세면 될까. 음력 1월 1일부터 자축인묘를 따지자는 것이다. 그런데 이건 정말 근거가 없다. ... ...
[뉴스페이스 업리프트] 실시간 질의응답으로 뉴스페이스 컨퍼런스를 함께 즐겨요
동아사이언스
l
2020.11.12
객석의 여러분들과 온라인으로 또 이곳 카오스홀 단상에 오르실 연사분들간에 재미있고
활발
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여러분들 휴대폰을 이용해서 슬라이도라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합니다. 이 어플리케이션을 이 행사와 유사한 포럼에서 활용을 해봤는데요 여러분께서 적극적으로 사용하시면 ... ...
[생중계] 뉴스페이스 코리아 업리프트 시청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0.11.12
객석의 여러분들과 온라인으로 또 이곳 카오스홀 단상에 오르실 연사분들간에 재미있고
활발
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여러분들 휴대폰을 이용해서 슬라이도라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합니다. 이 어플리케이션을 이 행사와 유사한 포럼에서 활용을 해봤는데요 여러분께서 적극적으로 사용하시면 ... ...
[한 토막 과학상식]IBS 연구진 최초로 관찰했다는 ‘케이지 형성’이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1.12
실험 결과 패킹계수가 0.6인 순간 유리에 자극이 가해졌을 때 유리 입자의 이동이 가장
활발
하며 입자들이 집단을 이뤄 움직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개별적으로 움직이던 입자들이 집단적으로 움직인다는 건 유리 입자가 케이지 구조를 이뤘다는 걸 뜻하고, 패킹계수가 0.6인 순간을 기점으로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