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스페셜
"
포착
"(으)로 총 30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로 힘들던 올해 한국의 기초과학 이들 덕분에 빛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김 선임연구원은 원자가 결합하며 분자가 탄생하는 35펨토초(fs·1천조분의 1초)의 순간을
포착
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생명과학 부문에서는 윤지연 연세대 의생명과학과 연구교수와 전희정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선임연구원이 뽑혔다. 윤 교수는 치료제가 없던 돌연변이 폐암에서 ... ...
[랩큐멘터리] 4세대 가속기, 물질의 근본 원리를 찾는 탐험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액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4세대 가속기로 이 순간을
포착
해 분석할 수 있었다. 4세대 가속기는 전 세계 학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세계적인 연구 그룹과 자연스럽게 교류할 수 있고 공동 경험도 많이 쌓을 수 있다. X선 회절 및 분광학 ... ...
[화보]세계 각국에서
포착
한 목성과 토성 대근접
2020.12.22
전영범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 책임연구원이 21일 오후 목성과 토성의 모습을
포착
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채플힐에서 카메라로 촬영한 목성(왼쪽)과 토성을 확대한 모습.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목성과 토성의 대근접은 전 세계에서 볼 수 있는 우주쇼다. 천문대에서 관측하는 것뿐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19 백신, 사이언스가 꼽은 올해의 과학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0.12.20
4000년 전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예술 벽화와 우리 은하 안에서 처음으로
포착
된 ‘빠른 전파 폭발(FRB)’도 포함됐다. 15도에서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상온초전도체 연구와 후천성면역결핍증(에이즈)을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를 스스로 치유한 이들을 분석해 에이즈 ... ...
해양 온난화가 맹독조류 키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사는 바다사자 수백 마리가 방향 감각을 잃어버린 채 이리저리 헤매고 있는 모습이
포착
됐다. 일부는 바다에서 강으로 거슬러 와 도시까지 이동하는 이상 행동을 보였다. 해양 과학자들은 새와 바다사자가 보이는 이상행동의 원인으로 ‘수도니치아’를 꼽는다. 수도니치아는 조류의 한 종류로 ... ...
[랩큐멘터리]아주 짧은 시간 누구도 본적 없는 현상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4세대 가속기로 관찰한 현상의 사진을
포착
하는 기법도 관심 있는 연구 분야다. 연구실에서 개발한 ‘단일펄스 시분해 이미징 실험 기법’은 물질이 변하는 전체 과정을 연속적인 사진으로 촬영하는 기법이다 ... ...
체온 측정 스마트 반지 코로나19 확산 막는 첨병될까
연합뉴스
l
2020.12.15
자각하기 전에 발열 현상을 보이며, 착용 장치를 이용한 지속적인 체온 측정으로 이를
포착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체온 측정 착용 장치를 코로나19 '조기 경보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핀란드 신생 기업 '오우라'(Oura)가 판매 중인 스마트 반지 '오우라 링'(Oura Ring) 사용자 6만 ... ...
코로나19 이후 히말라야 눈 더 하얗게 변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COVID-19·코로나19)이 전 세계를 덮친 가운데 위성의 눈에 지구가 바뀐 모습이 곳곳에서
포착
되고 있다. 인도 히말라야 지역의 눈은 더 하얗게 빛나는 현상이 나타났다. 몇몇 지역에서는 대기오염이 감소하고 수질이 깨끗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미국지질조사국(USGS), ... ...
[영상+] 일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 시료 호주 사막서 회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2.06
캡슐을 분리했다. JAXA의 캡슐 회수팀은 6일 오전 2시 29분 캡슐에서 뿜어져 나오는 불꽃을
포착
했고, 캡슐은 이날 오전 3시경 호주 우메라 사막에 떨어졌다. 회수팀은 잠시 뒤인 오전 3시 7분 캡슐이 보낸 신호를 5개의 안테나로 분석해 낙하지점을 예측했고, 헬리콥터가 4시 47분 캡슐을 발견했다. ... ...
노벨물리학상·007시리즈 배출한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세월 앞에 무너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2
전 세계에서 크기가 가장 컸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주로 외계에서 오는 신호를
포착
하는 연구에 활용됐다. 또 1974년에는 직접 외계인을 찾기 위해 마이크로파 형태의 '아레시보 메시지'를 허큘리스 대성단을 향해 쏘아보내기도 했다. 아레시보 메시지에는 1~10까지의 숫자, DNA를 구성하는 주요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