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자연"(으)로 총 18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 BT 기초 연구 세계적 수준, 산업화는 아직 미흡”동아사이언스 l2011.01.25
- -1994 ~ 1997 록펠러 대학 전임연구원 -1997 ~ 2000 한림대 한림과학원 조교수 -2000 ~ 2004 강원대 자연대 생명과학부 (생화학전공) 부교수 -2004 ~ 2007 연세대 이과대학 생화학과 부교수 -2007 ~ 현재 연세대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교수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 ...
- “미래성장동력 BT에서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1.01.05
- 이번에 출범하는 국과위가 큰 틀에서 비전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최근 현 정부는 자연과 함께 하는 세상, 풍요로운 세상, 건강한 세상, 편리한 세상 등 4가지 미래과학기술비전을 제시했다. 이렇게 큰 비전을 제시하면 각 부처 별로 그에 맞은 R&D를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R&D도 ... ...
- 합성세포 창조한 비결… “황당한 주제 당연하게 연구” 동아사이언스 l2010.06.21
- 게놈을 그대로 복제한 합성게놈을 만든 것”이라며 “앞으로는 사람이 설계한, 즉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게놈을 디자인해 합성세포를 만드는 연구에 도전할 것”이라고 다음 목표를 말했다. “이런 기술이 테러리스트의 손에 들어갈 경우 무시무시한 박테리아가 만들어져 인류에게 위협이 될 ... ...
- “국토의 64%는 산림, 생명과학 연구의 보고” 동아사이언스 l2010.05.25
- 있다. 정 청장은 “에코 투어 프로그램의 성격에 맞춰 정상정복형 산행문화에서 자연과 함께 하는 수평적 걷기 위주로 숲길을 조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08년 4월 개통한 71km에 걸친 지리산숲길에 3만 명 이상 방문했고 지역 주민의 소득도 향상됐다고 전했다. 또 트레일형인 울진의 ... ...
- “독불장군은 없다… 연계형 연구개발 시대 앞당겨야” 동아사이언스 l2010.04.14
- KIST) 유전공학연구소 응용미술생물연구실 실장 (책임연구원) 1992년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위촉교수 1993년 KIST 유전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 2001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환경생물소재연구실 실장 2002년 (현)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단장 2003~2004년 ... ...
- “육종센터, 전경이 24시간 지키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2010.02.23
- 물론 겉보기에 인공적인 요소가 들어가면 색안경을 끼고 보는 경우가 많아 가능한 자연 그대로의 교배를 시키고 키운다. 무조건 빨리 키우거나 새로운 형질을 만드는 것이 능사는 아니라는 의미다. 임 원장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전통적인 육종방법이 더 빨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농림수산식품 R&D, 발상의 전환 절실해”동아사이언스 l2010.02.08
- 농수산 인력 육성은 정말 심각한 수준입니다. 이미 농진청이나 산림청에서는 자연대나 공대에서 인력을 뽑아 가는데, 이들은 농업에 대한 배경지식이나 가치관이 부족해 무엇이 중요한 연구인지 적절한 판단을 못 내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승 원장=말뿐인 ‘수요자 중심 연구개발’에 대한 ... ...
- “화이트 바이오에 주목하라” 동아사이언스 l2010.01.25
- 필요한지 물었다. 이 위원장은 대뜸 과학자들의 자세가 달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연과학을 하는 교수들에게 왜 그 연구를 하냐고 물으면 ‘호기심 때문에 한다’는 말을 많이 해요. 개인과 국가의 비전이 조금 다른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공학자로 한정해서 말한다면 공학자의 최종 ... ...
- “농업, 첨단 산업으로 진화중” 동아사이언스 l2010.01.14
- 의대, 한의대, 자연대 등과 기초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했다. 김 청장은 “인간은 현재 자연의 2%만 활용하고 있다”면서 “농작물에서 신소재를 추출하고 신약 후보 물질을 찾아낼 수 있는 가능성이 98%나 남아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김 청장의 판단은 정확했다. 농진청은 올해 교육과학기술부가 ... ...
- “생명과학자가 쉽게 부자 되는 법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2009.12.14
- 선임연구원 1990년 미국 캘리포니아 TECHNPLPGY 연구소 화학부 박사후연구원 1995년 고려대 자연자원대학 생명공학원 객원교수 1997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1998년 한국생물공학회 국제협력이사 2000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연구단 단장 2006년 (현)유러피안 바이오피직스 저널(European ... ...
이전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