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스페셜
"
인체
"(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음식은 암 치료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2021.11.16
성장하고 분열하려면 단일불포화지방산이 있어야만 하므로 섭취가 부족할 때를 대비해
인체
에는 포화지방산을 단일불포화지방산으로 바꿔주는 효소인 SCD가 존재한다. 예상대로 단일불포화지방산 수요가 큰 암세포에서 SCD의 활성이 높다. 한편 다중불포화지방산(이중결합이 둘 이상)을 ... ...
밥상 위 농산물, 초미세플라스틱 복합 오염 위험에 노출
동아사이언스
l
2021.11.16
흡수되고 미세화하는 현상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복합 오염된 토양에서 경작된 농작물이
인체
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안전성평가연구소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포스텍 연구진과 공동연구를 통해 초미세플라스틱과 중금속으로 복합 오염된 토양 ... ...
90.4% 효능 노바백스 단백질 백신 상용화 임박…구멍 메울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1.11
지질나노입자에 실었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얀센 백신은 같은 유전정보를 가진 DNA를
인체
에 무해한 바이러스에 실었다. 이 백신들을 맞으면 세포가 유전정보를 토대로 스파이크단백질을 만들고 면역반응이 일어난다. 반면 노바백스 백신은 나방 세포를 이용해 스파이크단백질만 생산한 다음 ... ...
공중화장실 공기 흐름 막힌 사각지대에 비말 바이러스 떠다닌다
연합뉴스
l
2021.11.03
세면기 주변 등에 주로 형성된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공중에 떠다니다 호흡 등을 통해
인체
에 침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공기흐름 사각지대에 떠 있는 바이러스를 통해 감염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공중화장실은 많은 사람이 연이어 이용하는 곳이라 인구 ... ...
카롤린스카 의대 교수 "한국 연구환경 뛰어나...생리의학 분야서 노벨상 수상자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11.03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교수와 아뎀 파타푸티언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교수가
인체
에서 온도와 감각 느끼는 수용체를 발견해 한 공로로 지난 10월 상을 받았다. 올렌 교수는 "인간이 어떻게 주변 세상을 인지하는지 시각을 넓혔다"며 "노벨상은 기초 연구 중에 주는 것이 많다. 기초연구로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탄소’가 망친 세상 ‘수소’가 구해줄까
2021.10.27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주범이라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겠다는 노력이 자칫
인체
와 환경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오염물질 배출로 이어지는 것은 결코 가벼운 일이 아니다. 폭스바겐이 뒤늦게 ‘수소차’를 포기하고, ‘전기차’를 선택한 것이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었다. 수소를 연소시키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폐기된 기술에서 인류의 희망으로
2021.10.21
환영받는 연구주제가 아니었다. 하지만 큐어백은 저돌적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심지어
인체
를 대상으로 한 첫 시험주사를 큐어백의 최고과학담당임원(CSO)인 스티브 파스콜로가 맞았을 정도다. 파스콜로의 다리에는 지금도 당시 조직검사를 위해 떼어낸 상처가 남아 있다고 한다. 부부 면역학자인 ... ...
노벨상 수상자가 만든 감염력 없는 바이러스 복제품, 코로나19 연구 속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8
9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도 수행해 왔다. 지난해 7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미생물학’에
인체
감염 코로나바이러스의 면역 반응을 분석한 결과 림프구 단백질 복합체 일부가 감염을 방해할 수 있는 것을 밝혀내기도 했다. 이어 12월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 내에서 복제할 때 필요로 하는 ... ...
기억 흔적 추적하고 반도체 발열 해결 방안, 자율주행차 SW 검증 방법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1
보충하는 데 치중했지만 부작용이 나타나는 등 아직 성공적인 치료법을 찾지 못했다.
인체
는 DNA 정보를 읽어서 mRNA(메신저 RNA)를 생성하고, mRNA의 정보를 읽어서 다시 단백질이 생성되는데 유전자 한쪽이 망가지면서 정상적인 양의 단백질을 만들지 못해 병에 걸린다. 김 교수팀은 환자가 가지고 ... ...
코로나 백신 개발자들이 올해 노벨상을 타지 못한 이유…네이처 "타이밍과 검증"
동아사이언스
l
2021.10.08
바이러스 돌기 단백질을 만들 수 있는 유전물질(mRNA)을 지질로 된 작은 주머니에 감싸
인체
에 주입하는 핵산 백신이다. 메신저 RNA로 불리는 mRNA를 이용한다. mRNA는 체내에서 특정 단백질을 만드는 DNA 정보를 실어 나른다. 살아있는 바이러스의 독성을 약화해 체내에 넣는 방법이 아닌, mRNA를 이용해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