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이야기"(으)로 총 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의 목소리로 들어본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계속할 계획입니다. -에디터 주 ※ 동아사이언스는 현장의 과학자들이 전하는 과학계 이야기를 알기 쉽게 전해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독자와 과학기술계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생생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기획해 나갈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 “기반 기술 ‘나노’, 이제는 산업화에 주력해야”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덧붙였다. 이것이 결국 전체 과학기술계 발전과 더불어 나노 분야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이야기다. “나노뿐 아니라 전체 과학기술계에 대해 자긍심을 회복할 수 있도록 사회 전체적인 분위기를 만들었으면 합니다. 지금 같은 분위기에서는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친구들도 이 분야로 오기 쉽지 ... ...
- KAIST 유일의 축구 동아리 허리케인(HURRICANE)KAIST l2013.04.30
- KAIST 축구 동아리, 허리케인(HURRICANE)이 있다. 2012년도 허리케인 회장을 통해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Q1 간단히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KAIST 축구 동아리 허리케인 회장 10학번 이대원입니다. 신소재공학과에 재학 중이며, 담당하고 있는 포지션은 골키퍼입니다. Q2 허리케인은 어떻게 ... ...
- KAIST Art & Music Festival, KAMF!KAIST l2013.04.29
- 성황리에 끝낸 소감은 어떠신가요? 중간마다 페이스북을 확인하는데 뉴스피드가 KAMF이야기로 도배가 되어있는 거에요. 이름이 태그 돼서 ‘다혜누나 감사합니다.’ 같은 내용이 적혀있을 때 내가 뭘 하긴 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고 뿌듯했어요. 그리고 마지막, 기획단이 다 같이 모여서 ... ...
- 의공학 미래, 의사와 공학자의 소통에 달렸다동아사이언스 l2013.04.15
- 앉아 허심탄회하게 자신의 연구에 대해 이야기한다. 의사가 의료현장에서 느낀 불편함을 이야기하면 공학자가 해법을 제시하고, 공학자가 개발한 기술에 대해 의사들이 경험을 바탕으로 의견을 내놓는 식이다. 이처럼 의사와 공학자 간의 끈끈한 협력 관계 속에 지금껏 생각하지 못했던 혁신적인 ... ...
- “생명과학 강국 만들기, 전담부처가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2.12.25
- 추연성 LG생명과학 전문. 새 정부에 대한 이들의 기대는 ‘바이오 기술(BT) 전담 부처’로 이야기로 이어졌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2011년에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아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을 이끌어 냈다. 그러나 생명과학분야 전체를 아우르기엔 다소 권한과 책임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동아사이언스 l2012.08.13
- 특강했다. NEBS 제공“암에 걸린 환자에게 의사들은 ‘얼마나 오래 살 수 있는지’를 먼저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그것보다 더 중요한 건 ‘삶의 질’이에요. 암 정복은 아직 어려울지 몰라도 ‘약을 먹음으로써’ 암 때문에 무너진 삶의 질을 회복시키는 건 곧 가능해질 겁니다.” ‘한국인 중 ...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동아사이언스 l2012.07.03
- 한국의 임상연구 상황 등을 지적하며 한국이 어떤 전략을 펴야 하는지에 대해 폭넓게 이야기했다. 특히 신약개발 부문에서 기존 선진국과 차별화된 방법을 찾아야 하며, 이를 위해 아시아가 힘을 모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퍼졌다. 국제 공동연구의 현실과 한인 과학자들의 네트워크 활용 등 다양한 ...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동아사이언스 l2012.07.02
- 부딪쳐보라는 충고도 나왔다. 세계 시장에서 살아남으려면 세계 기준에 맞춰야 한다는 이야기다. 또 보스톤 지역에서 바이오산업이 발달한 배경을 소개하고, 이를 참고할 필요도 있다고 했다. ▽성무제 박사=한국에서 매출 1조원인 동아제약이 미국 시장에서는 중간 크기다. 그만큼 국내 제약 시장은 ... ...
- “중복투자 왜 문제되나? 경쟁을 통해 더 좋은 성과 나올 것”동아사이언스 l2012.05.21
- 통해 더 빠른 결과 나올 것! “농진청의 연구와 농수산식품부의 연구가 비슷하다는 이야기가 간혹 나옵니다. 그러나 분야에 따라 오히려 중복시켜서 경쟁시킬 필요도 있죠. 특히 생명공학 같은 기초과학 분야는 일정 부분의 중복을 통한 경쟁으로 더 좋은 결과가 나올 수도 있어요.” 농업과학기술 ... ...
이전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