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연
자연계
스페셜
"
생태계
"(으)로 총 66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광주 AI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착공식 열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대규모 예산을 투입하여 AI에 필요한 데이터센터 등의 인프라, 기업, 인재 등이 집약된 AI
생태계
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집적단지 시설은 광주광역시 첨단 3지구 내의 1공구에 대지 4만 7256㎡ 규모로 지하 1층 지상 7층의 실증동과 창업동, 지상 2층의 데이터센터 등 총 3개 동으로 구성되며, 2023년 완공 ... ...
밥상 위 농산물, 초미세플라스틱 복합 오염 위험에 노출
동아사이언스
l
2021.11.16
토양에 흡수된 미세플라스틱은 자연 분해가 어려워 토양에 지속적으로 쌓여 생물체에
생태계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진은 초미세플라스틱의 토양·식물 흡수와 미세화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 카드뮴과 폴리스티렌의 나노입자로 복합 오염된 토양에서 ‘애기장대’를 키워 21일 된 뿌리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다의 대식가' 고래,
생태계
영향력도 그만큼 커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6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3일 이번주 표지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섬 인근에서 혹등고래가 돌진하며 먹이를 먹고 있 ... “그 시스템이 여전히 존재하는 만큼 고래 개체수 회복을 돕는 게 잃어버린
생태계
기능을 복원하고 기후변화 대책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기후과학자 10명 중 8명 “죽기 전 기후변화 파국 볼 것 같다” 네이처 설문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1.11.02
보고서를 작성한 234명의 과학자 중 한명이다. 이 보고서는 기후변화가 지구
생태계
를 위협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을 대대적으로 감축하지 않는 한 금세기 말까지 산업화 이전보다 기온 상승을 1.5~2도 이내로 줄이는 목표에 도달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네이처는 IPCC 보고서 저자 233명 ... ...
최근 7년 기록상 가장 더웠다…WMO "극한 기상현상이 '뉴 노멀'"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1.11.01
바다에서 산꼭대기까지, 녹고 있는 빙하에서 극한 기상현상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생태계
와 공동체가 황폐해지고 있다”며 “COP26이 사람과 지구를 위한 전환점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구테흐스 총장은 “과학자들은 사실에 대해 명확한 만큼 리더들도 명확히 행동에 나서야 한다”며 “문이 ... ...
[인터뷰]"화성 다음 소행성 탐사 도전한 UAE 우주정책의 핵심은 기업 육성"
동아사이언스
l
2021.10.31
하느냐가 국가 우주정책의 중점 과제"라고 말했다. 누리호 발사 이후 민간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에 고심하고 있는 한국과 맥이 닿아 있다. 알 아미리 장관은 지난달초 발표한 소행성 탐사계획도 이런 철학에 기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UAE의 소행성 탐사계획은 2028년까지 탐사선을 발사해 203 ... ...
연구개발 활동하는 기업들 "차기정부 디지털 전환 성공 위해 컨트롤타워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0.28
데이터 표준을 먼저 마련해 상호 호환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유럽의 데이터
생태계
구축 프로젝트인 ‘가이아X’와 같이 빅테크 기업의 데이터 독점에 대항하여 우리 기업의 데이터 주권을 보호할 수 있는 데이터 공유·활용 시스템을 구축해 국내는 물론 다양한 국가와 산업데이터를 ... ...
[과학게시판] 국립기상과학원-서울대 그린바이오과기연구원 재해기상 업무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27
기상현상을 같이 연구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바이오 데이터 공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K-BDS)은 바이오 연구데이터 공유를 위한 데이터 댐이다.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참여해 올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
2021.10.26
새는 먹이를 씹지 않고 삼키고 장의 길이도 짧아 씨가 좀처럼 파괴되지 않는다.
생태계
현장 조사 결과 이 가설이 맞는 것으로 밝혀졌다. 고추의 원산지인 중미와 북미 남서부에 사는 새인 굽은부리쓰래셔(curve-billed thrasher. 지빠귀와 비슷하게 생긴 앵무과의 새)는 고추를 즐겨 먹는데 배설물을 ... ...
‘휴보 아빠’ 오준호 교수, KAIST에 50억원 기부
동아사이언스
l
2021.10.25
가치를 창출하는 KAIST의 추구 방향을 보여준 사례”라며 “KAIST 교수와 학생들이 창업
생태계
를 적극 활용해 기술 창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2020년 KAIST 기계공학과 교수직에서 은퇴한 오 교수는 현재 ‘레인보우 로보틱스’의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일하고 있다. 인간형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