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꽃
파생
화염
폭발
스페셜
"
분화
"(으)로 총 206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진화가 여섯 차례 일어났다. 반면 개과 동물의 경우 공통조상은 준원형 눈동자였고 종
분화
과정에서 세로형과 원형 진화가 각각 두 차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개가 고양이보다 친숙하게 느껴지는 게 눈동자 모양 때문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
2015.04.27
중복과 돌연변이가 일어나 녹색에 민감한 빛수용체와 빨간색에 민감한 빛수용체로
분화
했다. 그 결과 우리는 3색형 색각을 지니게 됐고 세상은 훨씬 더 다채로워졌다. ● 여명일 때 짧은 파장 비율 상대적으로 높아 그렇다면 원뿔세포가 일주리듬을 결정할 때 관여한다면 빛의 유무에 대한 ... ...
韓中 백두산 폭발 대비 구멍뚫어 탐사 나선다
2015.04.02
세우고 백두산 천지와 그 일대의 지진 등을 감시해 왔지만 지표면 탐사에 머물렀다.
분화
할 가능성이 있는 세계 주요 대형 화산 가운데 마그마가 있는 지하 수 km 깊이까지 구멍을 뚫어 조사하는 건 백두산이 처음이다. 화산 폭발이 빈번한 아이슬란드가 2002년 지하 2km까지 뚫고 들어갔지만 마그마 핵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뜻이기도 하다. 초기 우주에서는 자연계의 여러 힘이 분리되지 않고 공간과 시간이
분화
되지 않았다. 우주의 역사에서 찰나에 해당하는 이 짧은 시간 동안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알아낸다면 물리학의 성배인 통합이론을 구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림에서 설명하는 윌킨슨 마이크로파 비등방성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추측성 기사를 썼다. 즉 리켄에서 제일 잘 나가는 중견 연구자(사사이 박사는 줄기세포
분화
에서 노벨상후보 1순위였다)가 계약직 연구원으로 들어온 미모의 젊은 여성 과학자에게 홀려 권력을 남용해 팀장 자리에 앉혔고 그 결과 이 모양 이 꼴이 됐다는 것. 두 사람은 말도 안 되는 억측이라며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우주가 탄생할 때 물질이 어떻게 퍼져나갔는지, 자연계의 주요 힘들이 어떻게 작용하고
분화
해나갔는지, 지금의 천체와 은하들이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졌는지를 알려준다. 이처럼 중요한 암흑물질이지만, 직접 보이지 않다 보니 실제로 존재하는지부터 오래도록 논란거리였다. 우리가 갖고 있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발생학자 발테 게링 바젤대 교수도 그리스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한편 줄기세포
분화
의 대가인 일본의 사사이 요시키 박사는 젊은 과학자의 논문 조작 스캔들에 휘말려 극도의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하고 지난 8월 5일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7. 발터 게링 (1939. 3.20 ~ 2014. 5.29) 기형 초파리의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면역세포인 T세포는 골수에서 공급된 줄기세포(전구세포)가 흉선에서 분열,
분화
해 공급된다. 이때 골수에서 온 줄기세포는 흉선에 있던 줄기세포와 세포경쟁을 벌여 그 자리를 차지한다(왼쪽). 만일 골수에서 줄기세포가 오지 못하게 하면 흉선에 있던 줄기세포가 한 동안 역할을 하지만 ... ...
온타케산
분화
로 본 화산 예측의 어려움
KISTI
l
2014.12.01
동안 화산
분화
의 조짐이 나타나, 온 세계를 긴장시킨 바 있다. 이미 알려진 대로, 백두산
분화
예측을 위한 한중 공동 백두산 과학 시추 연구가 출범해 국내 13개 대학과 연구소의 학자들이 백두산 현지에서 채취한 암석 및 지하수(가스) 시료들에 대해 분석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14년 ...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습지 지리여행(Wetland Geotravel)
동아사이언스
l
2014.11.24
그림이다. 이 같은 그래프를 통해
분화
구에 물이 어떤 방식으로 담기며, 또 어떻게
분화
구 아래로 빠져나가는지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비가 오면 습지 수위가 거의 같은 기울기로 상승하며, 비가 그치면 수위가 매우 일정하게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직한 규칙성에 웃음이 절로 난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