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스페셜
"
미국
"(으)로 총 7,09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존기능 '질소고정', 해양 조류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구조를 가진 생물로 확장됐다는 연구가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를 장식했다. 타일러 콜
미국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그간 식물에게서 발견됐던 생존 유지 기능인 '질소고정'을 해양 조류에서 처음으로 확인한 연구 결과를 11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질소고정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선행은 '작은 친절과 위로'에서 시작
2024.04.1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도움 행동에 대한 고전적인 사회심리학 연구 중 '선한 사마리아인' 연구로 널리 알려져 있는 연구가 있다. 프린스턴대의 연구 ...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위기에 직면한 곤충
동아사이언스
l
2024.04.13
변화로 인한 온난화가
미국
꿀벌의 다양성에 큰 위협이 될 수 있음을 밝히는 내용이었다.
미국
뉴멕시코대, 워싱턴주 농림부 등 연구팀은 기온과 습도가 꿀벌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와 2002~2019년 꿀벌 개체수 데이터, 기후 변화 관측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꿀벌 243종 중 71%가 건조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인류 화석의 아이콘 '루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누렸다. 루시를 보기 위해 박물관에 줄을 서는 일이 비일비재했으며 2015년 버락 오바마
미국
전 대통령이 에티오피아를 방문했을 때 시간을 내어 루시를 관람했다는 건 전 세계 뉴스거리였다. 이같은 관심과 인류학 역사상 루시의 중요성 때문에 여전히 주요 연구 대상이다. 6일(현지시간) 루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스라이팅'을 극복하는 방법
2024.04.0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관계에서 상대가 속상할만한 행동을 잔뜩 해놓고서는 "너가 너무 예민한 거 아니야?"라고 하거나 분명히 존재하는 차별에 대해 ...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이크로바이옴과 단백질의 긴밀한 관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6
마이크로바이옴이 인간 생리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노아 팜
미국
예일대 의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인간의 세포와 마이크로바이옴 간의 상호작용을 자세하게 규명한 지도를 제작하고 연구 결과를 지난달 2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만에 하나 섭취량이 늘면 급성신부전증 등 인체에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미국
과 유럽에서는 식품회사가 홍국균의 붉은 색소를 쓸 수 없게 규제하는 배경이다. 홍국균은 이차대사산물로 신장독성이 있는 곰팡이독소인 시트리닌(아래)을 만든다. 한편 누룩곰팡이속과 푸른곰팡이속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에서 전기생리학적 연구 방법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16년간 생화학교수로 일한 후 2014년부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함께 하는 성취가 더 뜻깊다
2024.03.3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여러분의 삶에서 가장 소중하고 뜻 깊었던 순간에는 무엇이 있는가. 삶에서 가장 뜻 깊었던 시간들을 정의할 때 사람들은 보통 ...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유전적 메커니즘으로부터 비롯되는지는 그동안 학계의 수수께끼였다. 마테오 로시
미국
록펠러대 교수 연구팀은 헬리코니우스 속에 속하는 두 종의 나비가 날개 패턴에 따라 배우자를 선호하는 양상과 이같은 행동의 기반이 되는 유전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최근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21일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