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스페셜
"
뒤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청의 세계 ③ 도청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을까
KISTI
l
2014.02.20
감지하는 것이다. 특히 전자제품에 쓰이는 반도체를 검출하는 전파를 발사하면 벽
뒤
에 카메라나 마이크가 있는지 쉽게 알아낼 수 있다. 레이더가 아닌 엑스선을 이용하기도 한다. 유선도청에 대해서는 기기가 주고받는 전자신호의 스펙트럼을 분석해 다른 곳으로 정보가 새지 않는지 점검한다. ... ...
미세먼지가 건강을 위협한다
KISTI
l
2014.02.14
가늘어지거나 쉽게 부러지고 작은 자극에도 쉽게 빠진다. ∎물은 자주 마시고 외출
뒤
에는 씻는 것이 우선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가급적이면 외출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다. 하지만 외출을 해야 한다면 황사용 마스크를 착용하고 눈이 올 때는 우산이나 모자를 써 직접 맞지 않는 것이 ... ...
[만화] 스케이트 날의 과학
KISTI
l
2014.02.14
쇼트트랙이 있지. 쇼트트랙의 가장 중요한 기술은 추월이야. 너도 여러 선수가 앞서거니
뒤
서거니 하면서 계속 순위가 바뀌는 경기를 본 적이 있을 거야.” “알아요! 선수들이 거의 옆으로 누워서 경기하는 거 맞죠?” “그래. 쇼트트랙 전체 코스에서 곡선구간의 비중은 48%야. 하지만 선수들은 ... ...
기분·몸매·성적도 좌우하는 막강 물질, 호르몬
KISTI
l
2014.02.04
때는 차라리 시간이 흐르기를 기다렸다가 시험을 치는 것이 현명하다. 시험지를 받은
뒤
에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서서히 분해되면서 기억력과 이해력이 서서히 회복되기 때문이다. 시험공부는 시험시간 열 두시간 전에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시험 직전에 하는 공부는 시험 성적에 크게 도움이 ... ...
잊을만하면 찾아오는 조류독감, 그 이유는?
KISTI
l
2014.02.04
페스트의 대유행은 결국 다음 숙주를 만날 기회가 드물어지는 수준까지 인구가 급감한
뒤
에야 사라지게 됐다. ∎ 공장식 축산업, 과연 안전한가 가창오리의 떼죽음과 페스트로 인한 인구의 급감은 우리에게 전염병 대유행의 기본 공식을 제공한다. 미생물에 대한 면역력을 갖추지 못한 숙주와 ... ...
[실험] 미니 정수기 만들기
KISTI
l
2014.01.06
석탄층을 천천히 지나는 과정에서 물속에 섞인 각종 오염 물질이 분리․제거된
뒤
깨끗한 지하수로 돌아간다. 강이나 호수처럼 산소와 접할 수 있는 물의 유기 물질이 산화되는 과정 역시 자연 정화에 속한다. 또 오염된 물이 자연의 깨끗한 물과 합쳐지면 묽어지며 오염도가 내려가기도 한다. 단, ... ...
2014 갑오년 기념, 말의 진화 이야기
KISTI
l
2014.01.06
발견자 프리제발스키를 기려 ‘에쿠스 프르제발스키(Equus przewalskii)’라고 명명했다. 그
뒤
이 말은 ‘프르제발스키 말’ 또는 ‘몽고야생말’로 불린다. 프르제발스키 말은 (가축화된) 전형적인 말에 비해 다리가 짧아 땅딸막하다는 인상을 준다. 얼굴도 길쭉하면서도 둥글둥글한 게 보통 말과는 ... ...
한국의 ‘김장문화’, 인류무형유산 등재!
KISTI
l
2014.01.06
등 여러 가지 인공 첨가물을 넣어 부드러운 신맛을 낸다. 이는 젖산 발효가 일어난
뒤
자연스레 생기는 신맛을 일본인들이 싫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무치는 김치보다 유산균 수가 훨씬 적을 수밖에 없다. 일본 후지 TV에서 실시한 유산균 수 비교 결과에 의하면 김치에는 1g당 8억 마리가 넘는 ... ...
과학을 알면 스키 더 잘 탈 수 있다!
KISTI
l
2013.12.19
내리자마자 아빠를 슬로프 아래로 살짝 밀어버린다. 얼마 못 가 관성에 따라 무게중심이
뒤
로 쏠리더니 다리가 앞으로 쭉 빠지면서 제대로 꽈당 넘어지는 아빠. “아빠아! 그러니까 과학 실력을 현실에 잘 적용할 수 있도록 실습도 하셨어야죠! 스키를 글로만 배운 결과예요. 홍홍홍~ ... ...
[이달의 역사]적군도 친구도 예외 없는 도청의 세계 ①
KISTI
l
2013.12.13
일반인에 대한 전화 도청을 실시해야 한다는 움직임과 이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엎치락
뒤
치락을 반복해왔다. 지금도 각국에서는 정부기관의 도청 업무를 인정할지 말지에 대한 논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들어 도청의 세계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정보를 주고받는 채널이 다양해지고 인터넷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