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꼬리별
추성
살별
미성
뉴스
"
혜성
"(으)로 총 282건 검색되었습니다.
차갑고 우아하게 태어난 67P 추리
과학동아
l
2016.09.17
두 가지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외부 충격으로 암석처럼 커다란 물체 일부가 떨어져 나와
혜성
이 될 수도 있고, 작은 먼지가 조금씩 쌓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추리의 경우는 후자였다. 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탐사선 로제타가 보내온 추리의 토양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밀도가 낮고 구멍과 층이 ... ...
우주탐사 로봇 ‘필레’ 다시 찾았다
2016.09.06
최초로
혜성
에 착륙한 탐사 로봇이다. 2004년에 발사된
혜성
탐사선 ‘로제타’에 실려
혜성
67P로 출발했다. 그로부터 10년 뒤인 2014년 11월 12일, 로제타에서 분리돼 67P에 착륙하려 했지만, 표면에 내려앉지 못하고 튕겨 나갔다. 3일 후 배터리가 소진돼 신호가 끊어진 후 지금까지 정확한 위치를 ... ...
올해도 ‘페르세우스 유성우(별똥별)’ 보며 소원~ 빌어보자!
2016.08.11
매년 8월에 볼 수 있습니다. 130년 주기로 공전하는‘109P/스위프트-터틀(Swift-Tuttle)’
혜성
에 의해 우주 공간에 흩뿌려진 먼지 부스러기들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유성체들의 대기권 평균 진입 속도는 약 59km/s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유성우의 이름은 복사점이 ... ...
12일 밤 10시부터 ‘유성우’ 관람하세요
2016.08.09
인근에서 쏟아져 붙여진 이름이다. 1년 주기로 태양계를 찾는 ‘109P/스위프트-터틀’
혜성
이 지구 주위를 지나면서 그 부스러기들이 대기권에 진입해 유성우로 보이는 것이다. 국제유성기구(IMO)에 따르면 시간당 약 150개의 별똥별이 지구로 쏟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성우는 도시지역을 포함한 ... ...
“목성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2016.07.06
역사상 태양전지만을 이용해 가장 멀리 날아간 탐사선이다. 이전까지는 2012년 인류 첫
혜성
탐사선 ‘로제타’가 세운 7억9200만 ㎞가 최장 거리였는데 올 1월 주노가 그 기록을 깼다. ... ...
목성궤도 탐사선 주노(JUNO), 5일 낮 목성 궤도 성공적 안착
동아사이언스
l
2016.07.05
28억km를 비행하면서 태양 전지만을 이용해 가장 멀리 날아간 탐사선이 됐다. 이전 기록은
혜성
탐사선 ‘로제타’가 가진 7억9200만km로, 올해 1월 주노가 이미 이 기록을 넘어선 바 있다. ... ...
D-4, 5년 만에 목성 도착하는 NASA ‘주노’ 탐사선
2016.07.01
역사상 태양전지만을 이용해 가장 멀리 날아간 탐사선이 된다. 지금까지는 2012년 인류 첫
혜성
탐사선 ‘로제타’가 세운 7억9200만 ㎞가 최장거리였는데 올 1월 그 록을 깼다. 주노에는 길이 9m인 거대한 태양전지판이 3개나 달려 있다. 현재 주노는 목성에서 509만 ㎞ 지점을 지나며 목성에 조금씩 ... ...
“암흑물질이 6600만 년 전 공룡을 멸종시켰다”
2016.06.15
14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에서 출판 기념 기자 간담회를 가진 리사 랜들 미국 하버드대 교수. - 민음사 제공 “6600만 년 전 공룡을 멸종시킨
혜성
을 지구로 끌어당긴 원인이 ...
혜성
을 지구로 끌어당긴 원인이 암흑물질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은 2006년 발견된 맥노트
혜성
- Soerfm(W) 제공 ... ...
달에 있다는 토끼, 소행성에서 온 물 먹고 살았을까
2016.06.01
영국 오픈대 교수팀의 가설을 나타낸 모식도. - David Kring 제공 그 결과 달 내부의 물 중
혜성
에서 비롯된 것은 20%에 그쳤다. 대부분은 소행성의 수소-중수소 비율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달 내부의 물 대부분이 달이 마그마로 뒤덮여 있던 달 생성 초기에 부딪힌 소행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 ...
NASA 탐사선 ‘주노’ 7월 4일 목성 궤도 진입
2016.05.09
태양에너지 우주탐사선으로는 가장 멀리 비행한 기록을 세웠다. 이전 기록은 2012년 10월
혜성
‘67P/추류모프-게리시멘코’에 도착한 로제타 탐사선이었다. NASA 측은 “주노는 현재 상태가 매우 좋으며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며 “주노는 목성 구름의 비밀과 목성이 가지고 있는 초기 태양계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