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건
조건
요소
뉴스
"
필요조건
"(으)로 총 1,643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완충하면 화재 위험 커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8.16
주차장에 있는 충전기로 전기차를 충전하는 모습. 서울시는 최근 전기차 화재 예방책으로 화재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진 90% 이상 충전된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주차를 제한하는 방침을 내놨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1일 인천 서구의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전기차 화재로 차량 100대 이상이 ... ...
화성 거주 가능성 높였다…기온 10도 높이는 방법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테라포밍으로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형성한 화성 상상도. 위키미디어 제공. 화성, 금성 등을 지구와 비슷한 환경으로 만드는 것을 '테라포밍'이라고 한다. 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지구가 아닌 행성을 지구의 환경과 유사하게 만드는 방법을 연구해왔다. 에드윈 S. 카이트 미국 시카고대 지구물리 ... ...
[뉴스페이스로드] 발사체 기술 IP 소유권 갈등…또다른 '성장통의 서막'(중)
동아사이언스
l
2024.08.01
지난해 발사 준비 자동 제어시스템과 발사대 장비 제어 시스템 이상 상황 점검 및 조치를 완료한 누리호가 발사대에 기립해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누리호 고도화 사업 및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에서 체계종합기업 역할을 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최근 앞으로 차세대 발사체 개발 과 ... ...
항우연-한화에어로스페이스, 갈등 딛고 공동위원회 구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경남 창원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1사업장에 위치한 누리호 엔진 조립동 전경.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차세대 발사체(KSLV-Ⅲ) 사업 전반을 관리하기 위해 공동 위원회를 구성한다. 3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항우연과 한화에어로스페이 ... ...
에이즈 7번째 완치 사례…치료 성공 핵심요인은 '불분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8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를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일곱번째 완치 사례가 보고됐다. 환자에게 줄기세포를 이식해 면역세포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방식이 활용됐다. HIV에 감염돼 면역기능이 저하된 상태인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IDS·후천성면역결핍증)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
2024.07.2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사람의 내부를 볼 수 있는 빛의 발견 무엇인가가 눈에 보인다고 하는 것은 사람의 눈으로 그 대상이 가시광선의 빛을 발산한 것을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빛은 파장을 가지고 있고 그 파장이 약 400~700nm에 속해야 눈에 보인다. 가시광선중에서 파장이 가장 큰 것은 빨 ... ...
파리올림픽에서 활약할 수직이착륙기, 상용화 조건은
과학동아
l
2024.07.27
Volocopter GmbH 제공 2024년 7월 27일 토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베르사유 궁전에서는 마장마술 단체전 경기가 열린다. 간밤 파리 세느강에서 열린 올림픽 개막식의 여운이 채 가시지 않았지만 일찍 일어나 나갈 채비를 완료했다. 오전 8시경 파리 남서쪽에 있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이착륙장, 이시레 ... ...
[과기원NOW] 윤동기 KAIST 교수, 국제액정학회 중견학술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26
윤동기 KAIST 화학과 교수(왼쪽)가 24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국제액정학회에서 상장을 받고 있다. KAIST 제공 ■ KAIST는 윤동기 화학과 교수가 24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29회 국제액정학회에서 ILCS 중견학술상을 수상했다고 26일 밝혔다. ILCS 중견학술상은 액정분야에서 최초 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1958년 51세인 할랜드 우드 교수(왼쪽)의 연구실에 들어온 32살 늦깎이 대학원생 라르스 융달(가운데)은 혐기성 박테리아 무렐라 써모아세티카(오른쪽)가 이산화탄소에서 아세테이트를 만드는 대사 경로를 규명하는 연구 주제를 받았다. 두 사람은 그 뒤 30여 년 동안 협력해 대부분을 밝혔고 지금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우주 먼지'인 동시에 하나의 '우주'
2024.07.2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간은 다 하나하나가 고유한 존재이지만 알고 보면 아무도 '특별'하지는 않다는 사실, 누가 더 잘났고 못났다는 둥 지금은 모두가 우러러 보는 기준들도 절대적이지 않고 시간과 장소에 따라 얼마든지 변화하기 때문이라는 것, 우리가 지금은 절대적으로 아름답다고 여기는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