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림
감광막
영화
유제
네거티브필름
네거티브
내가티브
뉴스
"
필름
"(으)로 총 520건 검색되었습니다.
LED로 감성 충만 ‘햅틱’ 구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3
코팅된 특수
필름
에 빛을 쬐면 가열 또는 냉각이 유발하는 열팽창률 차이에 따라
필름
이 변형·회복되면서 진동을 만드는 방식이다. 연구진은 개발한 기술을 활용해 1㎠ 단위로 9개의 구역을 지닌 3×3 형태의 LED 배열을 만들어 각 구역에서 정밀한 진동 표현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기술적으로 ... ...
데이터 홍수 걱정 없는 저장장치의 차세대 주자들
과학동아
l
2021.02.27
계속 증가하면서 더욱 활용폭이 넓어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일본의 정밀화학기업 후지
필름
과 미국의 IT기업 IBM은 신소재를 이용해 580TB(테라바이트·1TB는 1024GB)에 달하는 저장용량을 가진 자기테이프 저장장치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자기테이프 모델(LTO8)보다 약 50배 ... ...
1만번 접었다 펴도 '괜찮아'…접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동아사이언스
l
2021.02.14
이용해 폴더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사진은 투명 전도체
필름
제작 과정으로(위) 표면 거칠기도 대폭 낮췄다(아래). 부산대 제공 1만 번을 접었다가 펴도 성능이 처음과 똑같이 유지되는 폴더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기술이 개발됐다. 전일 부산대 화학교육과 ... ...
성균관대팀, 차세대 태양광 소재로 마찰 직류 나노발전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08
처음으로 발견했다. 페로브스카이트 반도체 물질 위에 유기 홀전도체 막을 마찰하면 두
필름
의 접합부분에 형성된 음전하와 양전하가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에너지 준위로 이동하게 돼 전류가 발생하는 원리다. 기존의 마찰전기는 마찰 방향에 따라 전류의 흐름이 바뀌기 때문에 교류 전류가 ... ...
피부에 붙이면 1분안에 마약성분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7
정제해 용액으로 만들고 이를 두께가 160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필름
형태로 만들었다.
필름
위에 마약 성분에서 나타나는 라만 신호를 증폭시킬 때 필요한 250nm 두께의 나노선을 달아 피부에 붙일 수 있는 패치형 센서를 만들었다. 이 패치를 피부에 붙이고 검사가 필요한 때 레이저를 쪼이면 ... ...
딱딱한 집게형 대체할 손가락장갑형 심박수 측정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4
한계를 극복했다. 연구팀은 “전극소재로 전도성이 우수하고 유연하며 반투명
필름
을 형성해 투명전극으로 활용이 가능한 탄소나노튜브에 주목했다”며 “탄소나노튜브는 계면활성제와 물에 분산해 잉크젯 프린팅이 가능한 잉크로 제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분사된 탄소나노튜브는 물에 떠 ... ...
둘둘 말았다 펼치는 미래형 스마트폰 '롤러블 폰' CES서 공개
연합뉴스
l
2021.01.12
프린티드 아몰레드 스크롤링 디스플레이'도 공개했다. 2개의 원통형 기둥 사이에 얇은
필름
처럼 삽입된 디스플레이가 마치 두루마리처럼 좌우로 펼쳐지는 형태의 디스플레이다. TCL은 이들 제품의 구체적 출시 일정은 공개하지 않으면서도 올해 중 일종의 폴더블 또는 롤러블 제품을 내놓겠다고 ... ...
액체금속을 전자소자 배선으로 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갈륨 산화물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해 현재 투명전극에 활용되는 투명전도성
필름
전극과 유사한 전기전도성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 수소가 도핑된 고분자가 표면에 붙은 산화막은 길이를 300% 늘려도 깨지지 않고 점성(흐름성)과 소성(변형성)을 모두 갖는 점소성이 있다는 사실도 ... ...
머리카락 굵기 입자 속 '고흐그림'이 위조 원천적으로 막는다
2021.01.05
다른 글자가 나타나는 장치다. e는 물에 담그면 글자가 사라지는 장치, f는 유연한 투명
필름
에 구현된 위조 방지 문자가 접힘에 따라 달라지는 모습을 구현한 장치다.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연구팀은 머리카락 굵기 정도 크기인 고분자 입자에 고해상도 명화를 새겨 넣고 입자가 위조방지첨가제 ... ...
[소재의 미래]⑺그래핀과 실리콘반도체의 경계에서 돌파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제공 그는 이런 문제를 진공 상태를 통해 해결했다. 이 교수는 “휴대전화 액정에 보호
필름
을 붙일 때 이물질이 안 끼게 하는 좋은 방법은 공기가 없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라며 “같은 원리를 그래핀과 반도체 소자 계면에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진공 상태에서 초 고순도의 그래핀을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