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적물
침전물
뉴스
"
퇴적물
"(으)로 총 207건 검색되었습니다.
마그마 흔적 따라 철광석 광산 찾는다
과학동아
l
2018.04.26
매립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철분이 풍부한 광석과 화산
퇴적물
등을 섞은 뒤 1000도, 1000기압의 고온고압 상태를 만들어 실험실에서 마그마방을 재현했다. 여기서 생성된 마그마의 상태를 분석한 연구진은 마그마가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종류의 액체가 공존하는 ... ...
[포토] 화성의 얼음
퇴적물
, 3차원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18.02.02
MRO)의 고해상도 카메라(HiRISE)를 이용해 화성 지각의 3분의 1 깊이에 존재하는 얼음
퇴적물
의 3차원 구조를 밝혀냈다. 화성에 얼음 형태의 물이 있다는 사실은 이미 과거 탐사에서 밝혀졌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정확한 위치와 구조, 두께 등을 알 수 없었다. 연구팀은 화성의 중위도에서 가파른 경사면 ... ...
3400만 년 전 지구온난화 땐 바다 속에 빙하 많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7
쉐베넬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남극 대륙 오로라 구역 인근의
퇴적물
(화분)을 분석해 빙상이 과거 지금과 같은 온난화 기후 조건에서 어떻게 변화했는지 밝혀 '네이처' 14일자에 발표했다. 여러 수리모델들은 기후변화로 북극의 빙상이 계속 녹아 2300년에는 해수면이 3m가량 ... ...
경주, 포항 다음은 경주-포항 사이 지역 지진 가능성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7.11.24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진계에서 기록된 자료를 근거로 주변 암반이나
퇴적물
등 주변 환경 변수를 고려해 지진이 발생한 위치를 역추산한다. 그러나 아직 동남권 지역에 대한 상세한 지질 정보가 없어 지진이 발생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찾기도 쉽지 않다. 24일 서울 광화문 ... ...
지진 대비하려면 ‘해저 단층’ 파악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7.11.24
이끄는 새뮤얼 존슨 미국지질조사국(USGS) 태평양연안해양과학센터 연구원은 “해저
퇴적물
과 단층을 조사한 자료가 더해지면서 캘리포니아 지역 지진 정보가 더욱 정교해졌다”며 “1906년 규모 7.8의 샌프란시스코 지진이 발생한 지역에 향후 30년 안에 규모 6.7 이상의 지진이 일어날 확률은 14.4%라고 ... ...
포항, 중저주파 지진 때문에 피해 더 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7
흥해읍은 인근 지역이 산지인 것과 달리
퇴적물
이 19~20m 쌓인 곳에 위치한 마을이다. 이
퇴적물
이 지진의 진동을 증폭해 더 큰 피해를 입혔다. 포항 지진과 여진을 분석한 결과 이 지역에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활성단층이 있다는 사실 또한 밝혀졌다. 지표면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 그동안 ... ...
산타크루즈 해변에 맞닿아...해저단층 조사 연구의 최전선을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31
놓여있습니다. 각 연구원은 자신이 만든 지도를 자랑스럽게 연구실 외벽에 붙여둡니다.
퇴적물
지도일 수도 있고, 지형지도일 수도 있습니다. 갑작스럽게 지도에 대한 설명을 요청해도 자신있고 유쾌하게 설명해 줍니다. 둘로 나눠진 작은 단층이 실제로 거대한 단층 한 개였다는 사실을 찾아낸 자넷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지금도 일본 정부의 허용치를 넘는 데이터가 종종 나온다(갈색 동그라미). 이는 해저
퇴적물
에 방사성핵종이 꽤 있을 것이라는 조사 결과와 맥을 같이하는 현상이다. 특히 원전 항구에서 잡은 저서어류(갈색 x)의 경우 여전히 수만 베크렐이 찍히는 개체가 잡히기도 한다. 논문에 따르면 원전 항구 ... ...
우라늄, 뇌, 종자…인류 미래 저축하는 ‘과학 은행’
동아사이언스
l
2017.10.13
등 바다에 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임동일 책임연구원은 “해외에서는 주로
퇴적물
같은 지질 시료만을 중점적으로 정리하고 있다”며 “플랑크톤 같은 생체 시료를 직접 배양하면서 체계적으로 정리해 연구자들에게 제공하는 사례는 드물다”고 말했다. 지구에 재앙이 닥친 뒤에도 ... ...
한라산 비밀의 숲 탐험기
과학동아
l
2017.08.20
1950m가 아닌 1947m였다. 또 백록담 퇴적층을 36m 깊이까지 시추한 결과 30m 깊이에 묻힌
퇴적물
을 이용해 방사성탄소연대를 측정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백록담의 형성 시기는 최소 1만9000년 이전인 것으로 추정됐다. 한라산연구부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팀은 현재 백록담을 만든 용암이 분출되기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