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략
침범
유입
돌입
난입
내습
쇄도
뉴스
"
침입
"(으)로 총 585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든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에 효과 치료제 후보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개발하고 조만간 임상에 나선다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
할 때 인간 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모양을 변화시켜 바이러스의 감염 능력을 억제하는 분자를 활용한 항바이러스 치료 후보물질이다. 브리스톨대 연구진은 앞서 국제학술지 ... ...
[과기원은 지금] UNIST, 메타물질 변형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4.02
차세대 항암 면역세포치료 물질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수지상 세포는 T 세포에 외부
침입
자의 정보를 전달해 T 세포의 공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고, 여기에는 액틴이 관여한다. 전 교수팀은 액틴의 기능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수지상 세포가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데는 ‘트렌스젤린- ... ...
남아공 변이 무력화 6배 많은 항체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3.30
분석되기 때문이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바이러스 표면에 존재하는 돌기다. 인간 세포로
침입
하는 데 필수적이다. 어느 정도의 중화항체를 가져야 변이가 일어나도 감염을 피할 수 있는 지 명확치 않다. 과학자들은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 무력화에 어느 정도의 중화항체가 필요한 지 알아내기 위해 ... ...
제주 산방산 주변 천연기념물 조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통해 국제적으로 공유된다. 유국희 국립중앙과학관장은 “제주도 자연유산의 보전과
침입
종에 대응한 고유 생태계 유지를 위해 생물상을 파악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제주도 생물상을 더 잘 이해하고 제주도의 생태계를 함께 지켜나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 ...
3D프린팅으로 만든 인공 폐로 코로나 백신 개발에 사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이뤄져 있다. 포스텍 제공 폐는 바이러스나 미세먼지 등 외부 감염원인 미세 입자의
침입
에 가장 취약한 호흡기관으로 꼽힌다. 하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두께가 얇아 신약 개발 등 실험에 사용할 수 있는 인공 폐를 만들기가 어려웠다. 정성준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을 ... ...
하버드대의 코로나 전략, 핵심은 '변이에 앞서는 대응'
연합뉴스
l
2021.03.18
보니 스파이크 단백질의 RBD에 8개의 집단 돌연변이가 있었다. RBD는 바이러스의 세포
침입
을 막기 위해 항체가 결합하는 중요한 부위다. 연구팀은 이런 돌연변이를 가진 바이러스가 환자 본인의 것이 아닌 항체의 공격도 피할 수 있게 하는지 궁금했다. 그래서 A 환자에게서 분리한 신종 코로나의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자연에서 발견한 코로나19 치료 후보물질
2021.03.09
막융합을 저해하는 것이다. 요컨대 우리 연구진은 플라티코딘 D가 두 개의 바이러스
침입
과정을 모두 막는 새로운 코로나19 치료 후보약물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는 기존 개발 중인 진입억제 후보약물들의 한계점을 극복한 것이다. 해당 연구결과는 현재 바이오아카이브에 올라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면역작용에 상처까지 치료하는 대식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07
때는 GATA6+대식세포가 상처 부위에 결합하는 메커니즘을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 이물질이
침입
하지 않도록 레이저를 이용했다. 연구팀은 GATA6+ 대식세포가 상처 부위에 달라붙는 과정을 2개로 나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먼저 상처가 나면 복강을 떠다니던 몇 개의 대식세포가 부상 부위에 달라붙고 ... ...
제넥신, 코로나19 백신 국내 첫 임상2a상 진입
동아사이언스
l
2021.03.02
해외 긴급사용승인을 신청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GX-19N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
할 때 활용하는 스파이크단백질의 항원을 체내에 생성하는 DNA 방식의 백신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변이바이러스까지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개발 어디까지 왔나
2021.02.25
9 항체치료제가 스파이크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바이러스를 중화시켜 세포 내로
침입
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바이러스 표면에 부착된 항체치료제로 인해 바이러스 제거 및 T세포 면역반응 등 다양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도 있다. 스파이크단백질의 수용체결합영역(RBD)이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