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시력
투시
천랸
chollian
원격투시
뉴스
"
천리안
"(으)로 총 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난 지역에서도 와이파이 자유롭게 쓴다
2016.05.12
‘넷커스터마이즈’는 지난달 7일부터 10일간 우리나라 통신관측 인공위성인 ‘
천리안
’ 을 이용한 실제 기술검증을 마쳤다. 캠코더 영상 및 폐쇄회로카메라(CCTV)를 이용한 영상전송 시험과 인터넷 전화, 인터넷 접속 등 다양한 위성전송 시험을 완료했다. 오덕길 실장은 “최근 세계적으로 ... ...
7200억 원 투입한 인공위성 ‘
천리안
2호’ 조립현장 가 보니
2016.04.2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연구본부 연구원들이 우주로 올라갈
천리안
2호 실제 모델에 들어갈 패널 뒤에 전선을 잇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 전승민 ...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두 번째 정지궤도위성인 ‘
천리안
2호’.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26일부터 위성 통신 장애 발생”
2016.02.25
수신을 방해하면서 생긴다. 국내 위성으로는 올레 1호, 무궁화 5호 등 방송통신위성과
천리안
등 정지궤도위성이 태양전파간섭의 영향을 받는다. 국립전파연구원은 위성통신 장비를 사용하는 디지털 위성방송 가입자와 관련 기관에 주의를 당부했다. 위성방송의 경우 화면이 모자이크처럼 ... ...
北 발사체 어떤 점이 다를까 “태생부터 무기용”
2016.02.10
지난 2012년 진행된 북한의 은하 3호 발사 모습 - 동아일보 제공 북한이 2013년에 이어 두 차례나 위성 발사에 성공하면서 한국과 북한의 우주 기술에도 관심이 쏠리 ... 3호, 4호는 지상과 교신기능 정도만 갖춘 초보적 위성이지만 한국은 정지궤도 위성 ‘
천리안
’을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 ... ...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29
기구를 바다 속에 넣고 있다. -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그래서 기후변화연구과에서는
천리안
위성을 비롯한 여러 가지 위성이나 바다에 설치한 관측기구를 이용해 수온과 적조, 괭생이모자반 같은 바다생태계의 변화를 세밀하게 관측하고 있답니다. ● 생물이 살기 좋은 최적의 조건은? “콸콸콸~ ... ...
“한국 인공위성의 성공 신화는 제 역사이기도 합니다”
2016.01.25
거쳤다. 지금은 2017년 임무가 종료되는 통신해양기상위성 ‘
천리안
1호’의 뒤를 이을 ‘
천리안
2호’의 해양관측 탑재체를 개발 중이다. 용상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아리랑 1호부터 최근 아리랑 3A호까지 국내 인공위성 탑재체의 역사를 함께해온 산증인이다. - 대전=송경은 기자 ... ...
한국 정지궤도복합위성 이름은? ‘
천리안
’
2015.11.16
현재 ‘아리랑 5호’까지 우주에 올라간 상태다. 미래부는
천리안
과 아리랑 등 다양한 인공위성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해 우주 영토의 주권을 확보하고 국가 위상을 제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 ...
‘IT창의과학탐험대’, IT 연구의 최전선을 취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5.08.12
옮겨 항공우주공학과 심현철 교수팀의 드론 시연을 체험하고 우리나라 최초의 기상위성
천리안
의 모형이 있는 국가기상위성센터를 다녀왔다. 이번 견학은 지난달 4회에 걸쳐 진행된 IT 관련 수업 내용을 현장에서 직접 체험한다는 취지에서 이뤄졌다. 우수한 평가를 받은 탐험대원 20명은 오는 9월 ... ...
우주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주파수 전쟁’
2015.02.13
‘
천리안
’이 2011년 러시아 첩보 위성과 부딪힐 위험에 처했을 때 황급히
천리안
을 조종해 10km 이상 떨어지게 만들어 가까스로 충돌을 피한 경험이 있다. 만약 이처럼 긴박한 상황에서 주파수 혼선이 발생하면 위성 제어가 불가능해지고 회피 명령을 내릴 수 없다. 지상 주파수와의 혼선도 위성의 ... ...
한국형 새 정지궤도 위성 프랑스 발사체 타고 우주 간다
2015.02.11
때 단 한 차례 실패한 이후 46회 연속 발사에 성공해 성공률 97.9%를 자랑한다. 2010년 6월
천리안
위성도 이 로켓으로 발사됐다. 1만 ㎏의 무게를 우주로 실어 나를 수 있는 대형 발사체라 이번 임무를 완수하는데 적합하다.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총 12기의 인공위성을 개발해 발사했으며, 주로 러시아와 ... ...
이전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