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접
결합
접착
교착
연결
용접
부착
뉴스
"
접합
"(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 콜레스테롤과 감염, 그리고 치매
2019.10.12
놀랍게도 E4 대립유전자를 가진 사람 중 치매에 걸리지 않는 사람이 제법 많다. 동형
접합
자를 가진 경우도 말이다. 또한, E2 대립유전자를 가진 사람도 치매에 걸릴 수 있다. 약 3.9%다. 게다가 여성은 남성보다 두 배나 알츠하이머 치매에 많이 걸리는데, 유전자 빈도는 똑같다. 앞서 말한 것처럼 민족에 ... ...
2차원 반도체 상용화 앞당길 측정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0.02
연구진은 육각질화붕소 박막, 흑연, 그래핀, SC-TMD 등 2차원 물질이 적층된 수직이종
접합
구조를 제적하고 전자터널링분광법을 이용해 양자전기물성을 정확하게 측정했다. 고유 물성값은 물론 원자결함 상태의 기원과 영향력까지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정수용 책임연구원은 “원자결함 ... ...
"거친 표면 인공유방 이식 환자 9.3%만 안전성정보 통보받아"
연합뉴스
l
2019.10.01
이들은 표면을 거칠게 만든 보형물이 기존 매끄러운 표면의 보형물보다 가슴 내부 조직
접합
에 용이하다고 홍보해왔다. 식약처는 엘러간과 협의해 거친 표면 유방 보형물 이식환자에 대한 보상대책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앨러간의 거친 표면 인공유방 보형물을 이식한 후 실제 희귀암이 ... ...
[인류와 질병] 크레이지 캣 레이디
2019.09.28
속도가 빠르다. Rh 음성이 유리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톡소포자충에 감염된 경우에는 이형
접합
체를 가진 Rh 양성인이 유리하다. 톡소포자충증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염원이 많은 곳에서는 Rh 양성이 점점 늘어날 것이다. 고양이를 좋아하는 유럽인, 그리고 유럽인에게 유독 ... ...
차세대 연료전지 전문가 유성종 책임연구원 '이달의 KIST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있는 그래핀 구조의 촉매를 개발했다. 개발된 촉매는 비귀금속계 촉매 기반의 막·전극
접합
체 기술을 바탕으로 성능과 내구성은 물론 경제성까지 갖춘 매우 우수한 소재다. 그래핀 구조의 촉매는 기존의 프로톤 이온 전해질막 연료전지가 갖는 단점을 모두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
2019.09.21
감염에 내성을 가진다. 이는 아주 흥미로운 진화적 현상이다. 이형
접합
체가 동형
접합
체보다 유리하기 때문에 두 가지 다형성이 계속 유지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Rh +/- 유전형을 가진 사람의 혈액형은 Rh 양성이다. 그런데 이들은 Rh-/- 유전형을 가지고 있는 Rh 음성 혈액 혹은 Rh+/+ 유전형을 가진 Rh ... ...
"국내서 개발한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핵심부품 '열차폐체' 운송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공정률은 85% 정도다. 허 부장은 “열차폐체는 ITER 장치 조달품 중 조립 시 다른 부품과
접합
되는 부분이 가장 많아 설계와 제작이 까다로운 부품이라 설계시 고려조건이 많아 설계변경도 많았다"며 "열차폐체는 한국이 설계부터 제작, 현지 조립까지 주도하는 분야다. 국내 협력기업 및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죽는다면 해당 형질은 이미 사라졌을 것이다. 어떤 학자는 아프리카에서 ‘우연히’ 이형
접합
자가 더 많이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우연’이라니. 에번스는 동의하기 어려웠다. 종전 후 1946년 북 로디지아의 의사 비트는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 지금의 짐바브웨가 된 로디지아는 말라리아가 ... ...
‘무어의 법칙’ 뛰어넘는 분자컴퓨팅 실용화 단서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8.05
분자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열이 생기면 분자를 이루는 원자들이 빠르게 진동하면서
접합
이 깨질 수 있다. 이런 열 분산 문제를 해결하려면 단일 분자의 열전도도를 측정하는 게 기본이다. 국제공동연구진은 초미세 열을 측정하는 열량계를 이용해 유기 단일 분자의 열전도도를 측정하는 데 ... ...
[프리미엄 리포트] 문외한을 위한 시스템반도체 총정리
과학동아
l
2019.06.08
내장한 4096개의 반도체를 이용해 100만 개의 뉴런과 2억6000만 개의 시냅스(뉴런
접합
부)로 얽힌 인간 두뇌를 모방했다. 트루노스는 기존 시스템보다 1만분의 1 수준으로 적은 전력(25~275㎽)으로 구동했다. 덕분에 그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의 10대 연구 성과’에 선정되기도 했지만,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