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씨
위선
씨줄
권
Widow
widow
뉴스
"
위도
"(으)로 총 307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 동쪽 빙하가 서쪽보다 덜 녹는 이유는 '고도차'
동아사이언스
l
2020.06.13
상대적으로 따뜻한 바다에서 대륙 쪽으로 부는 고기압성 바람이 열을 가져오고 중
위도
의 바닷물 유입이 보태져 온난화 현상을 가속화한 것으로 분석됐다. 고도가 높은 동남극에서는 고기압성 바람의 방향이 차가운 대륙 위에서 바다 쪽을 향하면서 기온을 낮추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 ...
과학자들 "코로나19 확산하는 최적환경 있지만 계절 영향 안받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6.02
보다 활발히 전파되는 특성을 보였다. 지난 겨울~봄 사이의 코로나19 환자 분포를 보면 중
위도
의 비교적 시원한 지역에서 좀더 많은 환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하지만 아직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덥고 습한 기후 환경에서 전파력이 약해진다는 증거는 없다. 전문가들은 ... ...
물고기 안 잡혀도 실망 마세요...실력 아닌 기후 탓이랍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어류가 예전보다 더 높은
위도
에서 잡히고, 찬 바닷물에서 사는 어류가 종전보다 낮은
위도
에서 잡한다는 뜻이다. 지구상의 대부분의 생물은 선호하는 온도 대역이 있다. 평균기온이 바뀌면 원래 서식하던 곳과 비슷한 온도를 지닌 지역을 찾아 이동한다. 남해안 어류들도 이런 이동을 하고 있는 ... ...
생명공학 통계·기술평가 시행된다…생명공학법 개정안 의결
연합뉴스
l
2020.05.12
정책 지원 목적…"정책심의회 실무
위도
설치" 생명공학 분야 정책 수립을 뒷받침할 수 있는 통계 조사와 기술영향 평가 등을 시행할 수 있도록 생명공학법이 개정됐다. 또 생명공학 정책 수립 의사결정 기구인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산하에 실무위원회를 설치하는 조항도 신설됐다. ... ...
한빛5호기 원자로 헤드 용접부서 미세 균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5.06
용접된 것으로 알려졌다. 원안위 관계자는 “한수원의 계획예방정비 기간에 원안
위도
정기검사를 하는데 원자로 헤드는 기본 점검 항목에 포함된다”며 “이번 한빛 5호기에서 발견된 미세 균열은 관통관 용접부로 검사 세부 내용을 살필 계획”이라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9000만 년 전 남극, 얼음 대신 숲으로 뒤덮여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5
빽빽이 들어차고, 자그마한 공룡이 물가에서 뛰노는 숲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과거 중
위도
나 적도 근처 자연을 묘사한 것 같지만 그림이 표현한 곳은 놀랍게도 남극이다. 남극은 공룡이 지구를 지배하던 시절인 9000만 년 전에는 빙하 대신 온대우림 숲이 뒤덮여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남극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전염병은 왜 계절을 탈까?
2020.03.31
없는 한 예다. ‘신종감염병’ 제공 만일 코로나19에서도 이런 패턴이 보인다면 북반구 중
위도
가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갈 때 지금 동남아 상황에서 예측한 것보다는 뚜렷한 계절성이 나타날 수 있지도 않을까. 아직까지는 유럽과 북미가 고전하고 있지만 4월에 확산세가 꺾인다면 최근 국내 발생 ... ...
코로나19 논문 '800건 중국 vs 28건 한국'…왜?
연합뉴스
l
2020.03.31
확보해왔으나 대구·경북지역 확진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이후에는 임상
위도
(데이터가) 깜깜한 실정"이라며 "해당 지역 의료진이 사례보고양식(CRF, Case-report form)을 입력할 여력이 없는 데다, 질본과 지자체가 데이터를 갖고 있어도 공유되지 않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 ...
"스페이스X 스타링크 위성들 지구 위협하는 소행성 발견 방해" 美 연구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5
여름에는 육안으로도 수백 대가 지나가는 걸 관측할 수 있는 정도로 밝았다. 반면 저
위도
지역에서는 자정 전후 6시간 동안은 위성이 지나가지 않았다. 맥도웰 연구원은 해질무렵과 새벽에 태양 주변을 지나가는 것은 지구 근처 소행성을 관측하는 데 치명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문홍규 ... ...
[표지로 읽는 과학] 킹펭귄 90만 마리는 어디로 사라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예상과 달리 오히려 북쪽으로 사냥을 나서는 것이다. 연구팀은 킹펭귄이 극전선이 아닌
위도
50도 근방의 아남극 전선에서 다른 먹이를 찾아 사냥하는 것일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위메스키슈 연구원은 “이 데이터는 펭귄이 더 먼 곳으로 헤엄쳐 간다는 걸 뜻한다”며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