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서
꼬투리
핑계
근본
원인
시비
뉴스
"
실마리
"(으)로 총 59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시스템에서 귀금속 촉매 성능악화 현상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23
악화 현상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그린 수소을 저가에 생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실마리
를 찾았다는 평가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고분자전해질 수전해의 양극 내 이리듐 촉매 함량을 낮췄을 때 발생하는 성능 저하 문제가 촉매층과 확산층 계면에서 바인더의 함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라는 ... ...
퇴행성관절염, 항체치료제로 초기에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21
신호전달체계를 규명하고 이를 억제하는 항체치료제를 발굴하여 퇴행성관절염 극복의
실마리
를 찾았다”며 “앞으로 중대형 동물을 활용한 전임상 연구 및 독성평가 등의 후속연구를 통해 실용화, 산업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
주변물질 빨아들이며 만들어지는 '블랙홀 부착원반' 최초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4.27
멀리 떨어진 별과 은하의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
가 될 것”라고 말했다. 김 교수 역시 “이전에는 블랙홀 자체의 실존을 증명했다면 이번 관측영상은 블랙홀 바로 주변의 복잡한 천체물리학적 과정들을 선명하게 보여준다”고 말했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천식 등 만성질환 염증 조절
실마리
풀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4.26
이흥규 KAIST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이흥규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면역학적 시냅스 형성에 섬모 형성 단백질과 엔도솜 형성 단백질의 ... 사실을 알아냈다고 26일 밝혔다. 면역학적 시냅스 조절을 통한 천식 등 만성질환의 염증을 조절할 수 있는
실마리
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
[오늘과학] 코로나 백신 부작용 '혈전' 피하는 단백질, 곰한테 있었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4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일부 백신 부작용으로 거론됐던 혈전을 피하는 방법에 대한
실마리
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혈전은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로 심할 경우 심부정맥이나 뇌졸중과 같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마누엘라 티엘레 독일 막시밀리언대 교수 ... ...
영화 '인셉션'이 현실로?...기억 복구 미래 기술 '
실마리
'
동아사이언스
l
2023.04.14
현정호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과학과 교수. DGIST 제공 영화 ‘인셉션’에선 주인공이 타인의 꿈 속에 들어가 가짜 기억을 심고 실제 겪은 일처럼 느끼게 만든다. 국내 연구팀이 이런 일을 현실화할 기반 기술을 개발했다. 향후 알츠하이머병이나 치매로 잃은 기억을 복구시킬 미래 기술로 기대 ... ...
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과정 규명…치료제 개발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12
왼쪽부터 김준곤 고려대 화학과 교수, 최정모 부산대 화학과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 치매(알츠하이머병)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아밀로이드베타(Aβ)의 형성 과정을 규명하고 신규 치료제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김준곤 고려대 화학과 교수 ... ...
[오늘과학] 마약중독 해결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07
미국 콜드스프링하버연구소 제공 미국 연구팀이 마약 같은 약물 중독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
를 찾았다. 리 보 미국 콜드스프링하버연구소 신경과학부 연구원 연구팀은 뇌 편도체를 분석해 ‘Sst+ CeA’이란 특정 신경세포(뉴런)가 마약 중독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6일 ... ...
지구 최강 생존 '물곰', 온도 민감한 의약품 유통 '
실마리
'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타디그레이드. 네이처 Eye of Science/Science Photo Library 제공 약 6500만년전 거대한 운석이 지구에 떨어지자 지상에 있던 공룡과 많은 동식물이 사라졌다. 극한의 환경 속에서 죽지 않고 살아남은 동물도 있다. 아비 로에브 미국 하버드대 천체물리학 교수는 2017년 7월 14일자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 ... ...
"빙하기 북극해, 민물과 바닷물 사이 염분의 물로 채워져"
동아사이언스
l
2023.03.03
제1저자인 장광철 연수연구원은 “빙하기와 간빙기 동안 변화한 북극해 수층환경의
실마리
가 모래알 크기의 자생성 탄산염에 숨겨져 있었다”고 말했다. 과거 빙하기-간빙기 기후 변화에 따른 북극해 해수 특성 및 순환시스템의 변화를 나타낸 모식도. 극지연구소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