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식
뉴스
"
방정식
"(으)로 총 350건 검색되었습니다.
구글, 동네보다 작은 지역 날씨 3시간 앞서 내다보는 기상예보 AI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2.04
뒤까지 정확히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브롬버그 리드는 “기존에 널리 사용되던 편미분
방정식
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기술인 PDE나 NOAA가 사용하는 고해상도 시간단위 예측 기법인 허(HRRR) 등보다 시간적, 공간적으로 더 상세한 예측이 가능했다”며 “시간도 기존 기술의 1시간보다 더 먼 미래를 ... ...
[주말N수학]'아듀~근의 공식' 2차
방정식
쉽게 푸는 새 방법
수학동아
l
2020.02.01
수학동아DB/디자인 유승민 지난해 12월 16일입니다. 지난 4000년 넘게 인류를 괴롭혀온 '근의 공식'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새 방법이 논문을 통해 제시됐습니 ... 관련기사 수학동아 2020년 2월호, 4000년 역사 ‘근의 공식’ 이제는 외울 필요 없다. 2차
방정식
푸는 쉽고 새로운 방법 찾았다 ... ...
[주말N수학]'위대한 적분가'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20.01.04
수학 문제를 푸는 대회라니 정말 MIT 학생들답습니다.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차
방정식
이나 인수분해 문제를 주변 사람들과 겨뤄보는 것도 즐거울 것 같습니다. 2019년에는 2018년 우승자인 수학과의 애쉬윈 사가(왼쪽에서 두번째) 다시 우승을 차지해 ‘위대한 적분가’ 칭호를 지켜냈다. ... ...
'지구상 가장 큰 동물' 대왕고래 심장 1분에 두번 뛴다…사상 첫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1.26
이번 측정 결과는 기존 예측값과 사뭇 다른 결과다. 포유류 크기에서 심박수를 유추하는
방정식
에 따르면 평균 몸길이 23m, 몸무게 70t의 대왕고래는 319㎏의 심장에서 박동당 80L의 피를 뿜어야 한다. 몸을 유지하려면 휴식기 심박수 기준 분당 약 15회의 박동이 필요하다. 하지만 실제 측정값은 ... ...
[주말N수학]루머의 루머를 밝히는 수학
수학동아
l
2019.10.26
그룹을 나눈 뒤, 한 그룹의 사람이 다른 그룹으로 이동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미분
방정식
을 이용한 수학 모형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런 전염병 확산모형은 1965년에 소문이 퍼져나가는 현상을 밝히는 데 처음 쓰인 이후로 지금까지 응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2013년에 중국 상하이대 연구팀이 만든 ... ...
[인터뷰] "뛰어난 수학영재도 오래 붙잡고 있는 사람 쉽게 못이겨"
수학동아
l
2019.09.28
설명해 2016년 젊은과학자상을 받았다. 최근에는 플라스마의 성질을 나타내는 편미분
방정식
을 연구하는데 빠져 있다. -20세에 대학을 마쳤다 중학교 2학년 때 부산에 있던 한국과학영재학교 시험을 봤는데 합격해 중학교를 조기에 졸업했다. 고등학교도 6개월 먼저 졸업 학점을 채워 남들보다 일찍 ... ...
매일 쏟아지는 3만개 은하 정보 처리하는 '기초과학 빅데이터 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9.09.07
이 연구원은 “대학에서 물리를 배울 때 먼저 뉴턴의 법칙을 배우고 거기서 얻은 운동
방정식
을 활용해 케플러 법칙을 구하는 법을 배운다”며 “하지만 실제로는 케플러가 70년 전 사람”이라고 말했다. 법칙의 발견 순서와 반대로 근원이 되는 법칙이 발견된 것이다. 이 연구원은 “케플러가 ... ...
[사이언스N사피엔스]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보다 신성하다
2019.09.05
방법》 책을 썼다. 이 책은 대수학 역사상 가장 중요한 책으로 평가받는다. 예컨대 이차
방정식
의 풀이법 등이 이 책에 소개돼 있다. 이 책의 제목 중 ‘al-jabr’는 항을 옮긴다는 뜻의 단어인데 여기서 파생된 단어가 바로 알지브라(algebra)이다. 알 콰리즈미의 이름 자체에서 파생된 유명한 단어도 ... ...
[주말N수학]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
수학동아
l
2019.08.25
있다”며 “또한 다른 자연에서 나타나는 여러 종류의 패턴에도 잘 맞는다”고 새로운
방정식
의 우수성을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아직 과제는 남아있습니다. 기하학적 계산을 통해 식물이 어떻게 자랄지 예상할 수는 있지만, 왜 그런 모양으로 자라는지는 여전히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아인슈타인은 52세, 허블은 42세였다. 1917년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른 중력장
방정식
을 우주론에 적용하며 정적인 우주를 만들기 위해 우주상수 람다(Λ)를 도입했다. 그런데 허블의 관측으로 정적 우주론이 폐기된 것이다. 1929년 발표된 허블의 논문에 깊은 감명을 받은 아인슈타인은 2년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