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박사"(으)로 총 6,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소 이온 이용해 배터리 양극재 성능·수명 높여동아사이언스 l2025.01.10
- 왼쪽부터) 엄광섭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 이주형 교수, 이정태 경희대 교수, 권준화 박사, 소순성 박사. GIST 제공. 배터리 양극재 성능과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기술이 개발됐다. 수소 이온을 활용해 소재의 물성을 변형시켜 배터리의 에너지 저장 성능을 높였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 ...
- 장내미생물, 근육노화에도 관여한다동아사이언스 l2025.01.09
- 왼쪽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 류동렬 광주과학기술원(GIST) 의생명공학과 교수, 조윤주 박사후연구원, 김주원 건국대 의대 교수, 조동현 에이치이엠파마 연구원. GIST ... ...
- [과기원NOW] 포스텍, 친환경 붕소 제거 흡착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5.01.08
-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왼쪽)와 최운재 박사과정생.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임근배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국소적인 산성도(pH) 조절 기술을 활용해 혁신적인 붕소 제거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5일 국제학술지 '유해물질 저널'에 공개됐다. 붕소는 농업, 산업 반도체 ... ...
- 적외선 85배 증폭 초고감도 양자점 센서 소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5.01.08
- 김윤후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사과정생, 김병수 정보전자연구소 연구원, 이정용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양자점(quantum dot)을 활용해 상온에서 매우 미세한 적외선을 증폭해 감지하는 고성능 센서 소자를 개발했다. 자율주행차나 우주 관측, 양자컴퓨팅 등에 활용될 것으로 ... ...
- "인구절벽 심화…이공계 대학원, 석사중심·박사중심으로 나눠야"동아사이언스 l2025.01.07
- 추진 등도 이공계 대학원 혁신 방안으로 제시했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교수-석박사 대학원생-지원인력으로 구성된 교원 연구실을 기본 단위로 전제하는 현재의 대학 R&D 체제는 더 이상 지속이 어렵다”며 “국가적 현안과제 해결과 미래 과학기술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대학 및 교원의 ... ...
- 국가수리과학연구소장에 최윤성 포스텍 명예교수동아사이언스 l2025.01.06
- 임기는 3년이다. 최 신임소장은 서울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로체스터대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포스텍 수학과에서 35년간 교수로 재직했다. 포스텍 수학과 주임교수, 교무처장, 이학장, 포스텍수학연구소장으로 활동했다. 이 외에도 대한수학회 학술지인 대한수학회지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를 아는 것, 목표 달성 성패 가른다2025.01.04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찰스 카버 등 자기통제를 연구해온 학자들에 의하면 자기 통제의 가장 기본이 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목표 설정 ②실행 및 모니터링 목 ...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 ...
- 소뇌에 통증 비밀이…"새 통증 치료법 개발 기대" 동아사이언스 l2025.01.03
- 의대 생리학교실 교수, 김선광 경희대 교수, 김승하 전 서울대 의과학과 박사, 이재건 박사과정생. 서울대 제공. 소뇌에서 통증 정보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규명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기존 진통제의 한계를 넘는 효과적인 통증 관리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는 김상정 ... ...
- [동물do감] 침팬지, 견과류 깨는 능력 개인차 있다동아사이언스 l2025.01.02
- 나이가 들수록 더 잘 깨는 경향도 확인됐다. S. 베르두고 영국 옥스퍼드대 인류학과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이 일본 주부가쿠인대 연구팀과 함께 일부 침팬지는 동일 그룹의 다른 침팬지들보다 견과류를 잘 부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연구 결과를 지난달 2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인간행동’에 ... ...
- 홍합에서 영감 얻은 폐암 치료용 나노입자동아사이언스 l2025.01.02
- 포스텍은 차형준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의공학전공) 교수, 정연수 화학공학과 박사 연구팀이 조윤기 경북대 첨단기술융합대학 의생명융합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홍합에서 유래한 접착단백질로 폐암 치료용 흡입형 생체 나노입자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홍합 접착단백질 기반 흡입형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