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근소
조금
마이크
미소한
초미니
뉴스
"
미량
"(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행성 울티마 툴레, 천체 두 개 병합해 형성"
연합뉴스
l
2019.05.17
덧붙였다. 표면에는 메탄올과 톨린(tholin) 같은 유기물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물도 극
미량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울티마 툴레는 위성은 가지고 있지 않았다. 주위에서 고리나 먼지구름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대기가 존재한다는 증거도 검출되지 않았다. [NASA/Roman Tkachenko 제공] 연구진에 따르면 ... ...
지사제 '스멕타' 2세 미만 소아 및 임부 사용 금지
연합뉴스
l
2019.04.26
해당 품목의 허가사항을 변경해야 한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ANSM은 해당 의약품에
미량
의 납이 함유됐을 가능성을 고려해 예방조치로 '만 2세 미만 소아, 임부 및 수유부'에 사용하지 말라고 발표했다. 또 만 2세 이상 소아의 투여기간은 7일 이내로 제한하라고 했다. 국내에서 ... ...
김치 ‘매운맛’ 정도, 분자 수준에서 구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형광 이미징’ 기술과 ‘전반사형광현미경 기술’을 접목해 캡사이시노이드 초극
미량
검출 분석법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내인성 형광 이미징 기술은 분자가 갖고 있는 형광을 검출할 수 있는 기술로 순수한 단일 분자 정량화가 가능하다. 전반사형광현미경 기술은 굴절률이 다른 두 ... ...
심박 소리를 영상으로 보여주는 '슈퍼 청진기'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4.03
처리해 영상으로도 보여준다. 원리는 심전도와 비슷하다. 심장이 박동할 때 발생하는
미량
의 전기를 감지하고, 심박 소리의 크기, 음역의 고저를 영상화했다. 이 영상을 보면 심장판막증, 대동맥판협착증 등 징후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기기는 AMI의 대표이자, 순환기내과 전문의인 오가와 ... ...
'콜라 암 유발설 vs. 암 억제설' 논란 미궁 속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3.29
콜라 1000캔을 마시지 않는 한 소비자에게 즉각적인 위험을 주지 않을 정도로
미량
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밝혔고 미국음료협회는 “4-메틸이미다졸의 유해성은 아직 밝혀진 바 없다”고 말했다. 콜라 업계는 "소비자 보호단체들이 과학적 근거가 없는 주장으로 공포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고 ... ...
유전자 변이 15분만에 진단하는 휴대용 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1몰) 단위로 너무 작다는 점이 주된 이유다. 이 때문에 유전자 진단에는 목표로 하는
미량
의 유전자를 수십만 배까지 복제해 늘리는 유전자 증폭 기술을 활용한다.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이 대표적인데 이처럼 증폭 기술을 위한 장치가 따로 필요하다보니 유전자 검사는 그 자리에서 즉시 할 수 ... ...
항공·군사 소재 아라미드 나노섬유 대량생산 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12
연구팀은 개발한 나노섬유를 탄성이 있는 첨단소재 엘라스토머의 보강재로 적용했다.
미량
함량으로도 세계 최고 수준의 기계적 강도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가소성을 가진 폴리우레탄 소재에 400ppm을 첨가할 경우 인장강도가 84메카파스칼(MPa)이었고 인장인성이 기존대비 1.5배 증가했다. 박 ... ...
생명체 극한환경 생존 원리 밝힌 이철주 연구원 ‘이달의 KIST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단백체 분석법’을 활용한 결과다. KIST 측은 “이 연구원은 그동안 아주 짧은 순간
미량
으로 존재해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던 포밀메틸오닌에 따른 생명현상을 최초로 밝혀냈다”며 “동 연구는 극한 환경에서 생명체가 생존하는 신비를 풀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함과 동시에 새로운 연구 분야를 ... ...
[팩트체크] 잘못된 논문에…“슬라임 유해성 과장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등에 흔히 활용되며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붕사를 넣어 만든 슬라임 속에 극
미량
의 붕산(H3BO3)이 포함돼 있을 순 있지만 역시 소독제, 연고 등에 쓰이는 약산성 물질로 고농도가 아니라면 피부 노출로는 큰 유해성이 없다. 슬라임 재료로 활용되는 붕사(붕산나트륨염)는 약알칼리성 물질로 ... ...
세계 최초 기술 들고 라스베이거스로 가는 KAIST 교수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적용 가능하다. 김일두 교수 연구진이 개발한 색변화 센서는 0.4ppm 농도의 극
미량
황화수소에 노출됐을 때 1분 만에 맨눈으로 색깔 변화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민감한 검출 특성을 보인다. 기존 기술로 감지가 어려운 입 냄새는 물론 날숨을 이용한 질병 또는 마약 검사, 유해 환경가스 검출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