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뼈
뇌
머리
대가리
두골
해골
뉴스
"
두개골
"(으)로 총 303건 검색되었습니다.
[600호 맞은 과학과 기술] 50년전 인공장기·서독 과학을 주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실렸다. 나일론이나 데크론 등 합성섬유로 만든 인공혈관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인공
두개골
, 실리콘 고무나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든 인공심장 등이 탄생할 것이라는 전망 기사도 눈에 띈다. 인종별 피부를 저장해 화상 환자에게 이식해주는 피부은행이 등장하리라는 예측도 있다. 50년이 흐른 ... ...
티베트 고원지대 차지한 첫 인류는 ‘데니소바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그 동안 콩알 크기의 치아나 어른 손가락 한두 마디 크기의 뼛조각으로만 발견돼 왔고,
두개골
과 관련한 뼈 화석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이번 발견으로 데니소바인이 산소 농도가 낮은 티베트 고원에 현생인류보다 10만 년 이상 먼저 살며 극한 환경에 적응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장자크 휴블린 ... ...
풍부한 의사소통 위해… 인류, 코 빼고 얼굴 돌출부 다 버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이어진다. 현생인류(왼쪽)의
두개골
과 약 11만 년 전 살던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의
두개골
을 비교했다. 현생인류가 더 부드럽고 머리 크기도 크다. 사진제공 요크대 이런 형태는 약 350만∼250만 년 전에 살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류에서도 크게 달라지지 않다가 250만∼200만 년 전에 등장한 우리의 ... ...
‘미지의 친척인류’ 데니소바인
두개골
파편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러시아 알타이산맥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굴한 인류(여자아이)의 손가락 뼈. 이 작은 뼈에서 얻은 불과 30밀리그램의 시료에서 추출한 DNA로 게놈을 ... 화석을 형태로 구분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비올라 교수는 “더 온전한
두개골
화석이 필요하다”며 계속 발굴할 뜻을 밝혔다. ... ...
[두통인구 100만명]① 취업난·스마트폰 과용 시대의 그늘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각성 상태에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는 이유다. 두통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뇌수막이나
두개골
을 둘러싼 피부와 근육, 주변 혈관이나 신경에 있는 통각 수용체가 활성화했을 때 생긴다. 두통을 느끼는 부위가 여럿인 만큼 두통의 원인도 다양하다. 뇌경색이나 뇌출혈, 뇌종양 등 병적 원인으로 ... ...
국내 연구팀, 몽골에서 아기 신종 공룡 ‘고비랍토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고비랍토르 미누투스’의 생전 모습을 복원했다. 태어난 지 1~2년 된 어린 개체로
두개골
과 골반, 다리뼈 등이 일부 발견됐다. 두꺼운 주둥이를 지녀 조개 등 단단한 먹이를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사진 제공 김도윤 처음 발견될 당시 다른 공룡의 알을 훔쳐 먹는 것으로 잘못 알려져 ‘알 ... ...
2018년 과학에서 배운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각자(혹은 상사)의 선택에 달렸다. 왼쪽은 호모 사피엔스, 오른쪽은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
의 모습. -위키미디아 커먼스/마이크 백스터 제공 ④우리 몸엔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 인류의 조상이 남긴 유산에는 배울 게 많다. 과학자들은 유전자를 분석해 수십만 년 전 현생 인류인 호모 ... ...
과학 연구의 최전선을 담은 올해 최고의 사진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00년된 국립박물관에 큰 불이 났다. 라틴 아메리카에서 발견된 인간화석 중 가장 오래된
두개골
화석인 루지아(Luzia)를 포함해 2000만 개의 표본이 화마에 사라지거나 불탔다. 비상 스프링클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피해가 더 컸다. 루지아는 약 1만1500년 전 화석으로 자료를 바탕으로 ... ...
[여기에 과학]뒤짱구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적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뇌 발달에 치명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진은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변이는
두개골
뒷부분을 약간 덜 둥글게 만들 뿐 뇌 기능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가진 현대인은 뒤통수가 튀어나오긴 하지만 기능적으로는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 ...
고생물학 디지털 화석으로 부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활용된다. 런던자연사박물관 3D시각화실험실의 에이미 스콧 머레이 박사가 공룡의
두개골
을 디지털화하기위해 컴퓨터 단층 촬영 장비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런던자연사박물관 제공 고고학계에선 고대 생물과 당시 환경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하려면 화석 자료를 디지털 데이터 전환해야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