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뉴스
"
끝
"(으)로 총 3,264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책임자는 치어리더"…제자가 말하는 베이커 교수의 이유 있는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할 새로운 사람을 찾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또 제자들은 베이커 교수가 스스로를
끝
까지 '연구자'로 정의했던 것 같다고 회고했다. 박근완 연구원은 "베이커 교수는 연구 동료라는 느낌이 강했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2, 3주마다 베이커랩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연구에 대해 발표를 ... ...
'앗 뜨거워' 전자기기 발열 문제 해결할 기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핀(fin)에서 착안해 새로운 접근방식을 개발했다. 자성을 가진 절연체 박막 한쪽
끝
에 나노미터 규모의 금 구조물을 추가하고 금 구조물 함량에 따라 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도록 설계했다. 이 금 구조물은 해당 위치에 있는 스핀파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춰 물질 내에서 스핀파의 온도 불균형을 ... ...
"암흑물질 'DFSZ액시온' 연구 2팀 중 한 팀은 한국…발견만 하면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있다. 이 둘의 기초 개념은 100여 년 전에 나왔다. 기초과학 연구자들이 계속 연구한
끝
에 오늘날 투자 가치가 높은 분야로 재탄생했다. 현재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가 이어져 향후 훌륭한 기술이 계속 나올 수 있었으면 좋겠다. ... ...
의심사고 766 건 , 인정은 0건?…자동차 급발진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24.10.05
가속 페달을 얼마나 밟았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수치다. 99%일 경우 가속 페달을
끝
까지 밟았다는 의미다. 급발진을 주장하는 운전자들은 자신이 가속 페달이 아닌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다.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EDR 기록에서는 가속 페달 밟음량이 0%지만 브레이크 페달 ... ...
MS·구글 등 빅테크 명운 쥔 '탄소 먹는 공장' 가보니
SEIZE
l
2024.10.04
두 개의 반대편에 수십 개의 팬이 돌아가고 있다. Climeworks / OZZO Photography 제공 여름의
끝
자락 9월에도 몸을 움직이기 힘들 정도로 거센 바람이 부는 아이슬란드 남서쪽 욀뷔스. 허허벌판 한가운데 거대한 검회색 공장이 모습을 드러냈다. 9월 초 찾은 이 공장 일부 벽면에는 팬 수십개가 굉음을 내며 ... ...
서울대 의대, 의대생들 휴학 첫 승인…'휴학 불가 방침' 첫 반기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자체적으로 의대생들의 집단 유급을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고 학장이 고심
끝
에 휴학을 승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교육부는 "동맹휴학은 정당한 휴학 사유가 아니다"라며 "서울의대 학장의 독단적 휴학 승인에 대해 즉각적인 현지 감사 등 엄정 대처할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 ...
'제1회 어린이우주인 선발대회' 최종 행사 성료…우수 참가자 30명 홍보대사 임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9.30
때부터 우주에 대한 호기심으로 가득 차 있었고 오랜 시간 그 꿈을 잃지 않고 노력한
끝
에 지금의 나라스페이스를 창업하게 되었다"며 "여러분의 꿈도 꾸준히 이어져 우주 산업에서 다시 만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어린이 우주 홍보대사 임명식 후 스탬프 투어와 비공개 면접이 진행됐다. ... ...
사람의 스트레스 냄새 맡은 개, 어떻게 행동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9.28
긴 벽이 놓인 방에 들어갔어요. 벽의 왼쪽
끝
에 있는 그릇에는 음식이 있고 벽의 오른쪽
끝
에 있는 그릇에는 음식이 없었습니다. 개들은 훈련할수록 음식이 있는 그릇에 더 빨리 다가가고 빈 그릇에는 느리게 다가갔어요. 연구팀은 원래 있던 그릇을 치우고 벽의 중앙에 그릇을 뒀어요. 그런 다음 ... ...
물에서 놀면 손이 쭈글쭈글해지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9.28
아무리 오래 있어도 주름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물 속에서 손가락
끝
이 쭈글쭈글해지는데 ‘신경’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경은 몸의 각 부분의 자극을 뇌나 척수로 전달하는 실 모양의 기관입니다. 그 후 과학자들은 피부밑 땀샘으로부터 신호를 받은 ... ...
[동물do감] 걸어 다니며 바다맛 보는 물고기 '바다로빈'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맛이 나는 화학 물질에 노출됐을 때 사지의 신경이 활성화 됐다. 바다로빈의 다리
끝
을 조사해보니 다리는 삽 같은 모양을 하고 있었고 표면은 혀의 미뢰 같은 돌기로 덮여 있었다. 돌기에는 미각 수용체가 있어 모래 속에 묻혀 있는 단일 아미노산 캡슐을 찾아낼 정도로 화학적 자극에 민감했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