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스크
탈
복면
선잠
옅은 잠
페르소나
가장
뉴스
"
가면
"(으)로 총 467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과속을 하는 이유
2019.05.05
핸들을 움켜잡습니다. 다들 무시무시한 속도를 내는 도로에서 자신만 제 속도로
가면
오히려 더 위험합니다. 비매너가 비매너를 부릅니다. 운전자에게 자율적으로 안전 속도를 지키라고 하는 것은 비현실적인 바람입니다. 도로를 넓혀서 짜증 나는 일이 없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도로에 있는 위험한 ... ...
SF까지 넘보는 대륙의 힘 '유랑지구'
2019.05.04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거리를 ‘로슈 한계’라고 합니다. 지구도 목성에 끌려 들어
가면
서 부서질 위기에 처합니다. 설령 부서지지 않더라도 목성의 조석력이 지구의 내부를 휘저어 놓을 테니 지진이나 화산 같은 각종 재해가 일어나 지하도시가 위태롭습니다. 적색왜성을 새로운 태양으로?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은 왜 편리한 날개를 버렸나
2019.04.24
강원길쭉먼지벌레 날개를 없앤 대신 강하고 긴 다리로 생활을 하는데 어찌나 빠른지 도망
가면
잡기도 어렵거니와 손으로 잡으려고 하면 곤충 몸에서 나오는 액체로 손가락이 갈색으로 착색되고 노린재들이 내는 누린내와는 차원이 다른 아주 메스꺼운 냄새가 난다. 홍단딱정벌레나 길쭉먼지벌레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조현병, 지척에 치료법이 있다
2019.04.20
그렇게 무리해
가면
서 도와줄 친지나 이웃이 주변에 있지도 않습니다. 가까운 병원에
가면
분명 치료법이 있습니다. 인류는 거의 기적과도 같은 근대 의학의 발전, 그리고 행운의 여신의 도움까지 힘입어 조현병 치료약을 만들어냈습니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아주 근사한 약입니다. 게다가 각종 ... ...
[주말N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
수학동아
l
2019.04.20
확대한 하나의 톱니만 보면 미분가능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n이 무한대로
가면
이 모양이 극한으로 작아지면서 뾰족한 부분만 남게되는 프랙탈 함수입니다. 모든 점에서 미분이 불가능해지는 것입니다. 그럼 모든 구간에서 연속하면서 모든 구간에서 미분 불가능한 함수를 찾은 것이 ... ...
치과 공부를 한 원숭이
팝뉴스
l
2019.04.16
진지한 자세로 강아지의 이를 검진(?)하고 있어서 재미있다. 해외 네티즌들은 치과에
가면
어린아이는 혼이 나가고 의사는 거침없이 검진을 한다면서, 사진 속 강아지와 원숭이가 딱 그 경우라고 말한다. 한편 원숭이가 강아지 입에 들어간 음식을 강탈하려는 것 같다는 분석도 눈길을 끈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살며 사랑하며 늙어가며
2019.04.14
일이나 배우라고 합니다. 2년 동안 기술도 배우고 자격증을 따며 하나하나 만들어
가면
된다는 것입니다. 기분이 팍 상합니다. 누가 대신 해주는 것은 편하고 좋아도 싫습니다. 성질을 버럭 내고 방에 들어옵니다. 책꽂이에 꽂힌 어린 시절의 일기장을 꺼내봅니다. 개발새발 연필로 쓴 일기장입니다. ... ...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개
팝뉴스
l
2019.04.09
얼굴은 페인팅이 아니라
가면
이다. 개들은 사람
가면
을 쓰고 괴물 같은 포스를 풍긴다.
가면
의 얼굴은 비열한 미소를 짓고 있어서 더욱 섬뜩하다는 평가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 ...
“에이즈 완치 낙관 일러... 백신개발 통한 예방이 우선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위한 치료제와 백신 모두 완벽하지 않다. 바이러스가 변이가 심하고 갑옷 같은 껍질과
가면
으로 덮여 면역체계가 발견하기도, 파괴하기도 쉽지 않다. 지난달 국제학술지 ‘네이처’를 통해 나온 사상 두 번째 치료 사례는 골수 이식을 통해 HIV가 체내 면역세포에 감염되는 과정을 막아 확산을 ... ...
인류 기술 진화의 원동력은 '커닝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이달 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인간행동’에 발표했다. 모방을 통해 작은 개선을 쌓아
가면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기술의 진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인간이 만든 복잡한 도구는 인간이 쌓은 지식의 결과처럼 보인다. 하지만 고대에 등장했고 기술이 발달했음에도 여전히 현대 과학이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