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개
갈래
가락
겹
뉴스
"
가닥
"(으)로 총 356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 인간의 식사 장면"
팝뉴스
l
2020.01.26
마술의 한 장면 같다. 아니면 예술 작품이라고 해야 할까. 사람 손이 없는데도 포크와 면
가닥
이 허공에 떠 있다. ‘투명 인간의 식사 장면’을 촬영한 것이라고 말하는 네티즌도 있다. 사진은 최근 미국 알래스카 페어뱅크스에서 촬영된 것이다. 공개자에 따르면 어떠한 트릭도 없었다고 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바이러스, 진화의 끝은 어디인가
2020.01.21
살펴보자. 코로나바이러스의 게놈은 DNA이중
가닥
이 아니라 약 3만 염기 길이의 RNA단일
가닥
으로 이뤄져 있다. 많은 동물의 시료에서 코로나바이러스를 찾았고 이들의 게놈서열을 비교한 결과 네 속(屬)으로 분류했다. 알파코로나바이러스, 베타코로나바이러스, 감마코로나바이러스,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홍채 보면 건강을 알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관련 학회를 만들어 10여 명 학자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 학자들은 홍채에는 수십만
가닥
의 신경과 모세혈관, 미세근육 등이 있으며 이것들이 모든 장기와 조직에 연결돼 있다고 보고 있다. 또 장기에 문제가 생기면 각 영역에도 변화가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홍채의 색깔이나 무늬만 ... ...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하고 반도체 경쟁력 확보하고… 운영 2만 시간 돌파한 경주 양성자가속기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백금촉매 생산에 사용된다. 새로운 품종의 식물을 만들 수도 있다. 양성자 빔은 DNA 한
가닥
을 끊으면 흡수되는 X선과 달리 이중나선을 동시에 끊을 수 있어서 다양한 변이체를 만들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더 크고 아삭아삭한 배추나 무 품종을 만들 수 있다. 선형 가속기의 장점은 원형 가속기와 ... ...
RNA로 폐암 단백질 잡는 치료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팀은 USE1을 표적으로 하는 간섭RNA를 대량으로 증폭한 다음, 이
가닥
들이 스스로 엉기면서 자가조립되는 방식으로 나노구조체를 합성했다. 이 나노구조체는 세포 안으로 들어가기 쉽도록 크기가 작으면서도, 표면적이 넓어 세포 내 유전자절단효소를 이용해 간섭RNA를 쉽게 ... ...
달 궤도선 NASA측 제안 긍정적 검토…기술적 어려움 극복이 과제
동아사이언스
l
2019.11.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NASA의 새 경로를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쪽으로
가닥
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새 경로는 달까지 가는 데 오랜 시간이 좀더 걸리고 통신 등 일부 분야의 기술적 난이도가 높아 불확실성이 있지만, NASA가 관련 기술 제공을 적극 제안한 만큼 ‘해 볼만 하다’는 기류가 형성됐기 ... ...
전도성 고분자로 투명전극 제조 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뭉친 형태로 PEDOT:PSS는 전기가 잘 통하는 PEDOT을 PSS가 피복처럼 둘러싼 형태로 긴
가닥
이 만들어진다. 이 물질의 전도도를 올리려면 PEDOT이 최대한 노출돼 서로 연결되도록 만들면 된다. 기존의 화학적 처리는 PSS를 화학 물질을 통해 녹여 PEDOT이 노출되게 하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반대로 PEDOT에 ... ...
‘크리스퍼’를 뛰어넘을 새로운 유전자 편집도구 ‘프라임’ 등장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2
이 과정은 외부에서 통제할 수 없어 오작동에 취약했다. 반면 프라임은 DNA 이중나선의 한
가닥
에만 잘라낸다. 이 과정에서 세포의 자체 회복 시스템이 아니라 세포 내에서 RNA 정보를 이용해 다시 DNA를 합성하는 '역전사 효소'가 DNA를 회복시킨다. 역전사 효소는 외부에서 조절이 가능한 효소다. ... ...
쌍성계 형성 비밀 밝혀준 '프레첼' 모양 가스·먼지 원반
연합뉴스
l
2019.10.08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로 마침내 쌍성계 젊은 별이 자신들이 태어난 원반에 물질공급
가닥
으로 복잡하게 연결된 내부구조를 파악하게 됐다"면서 "이는 현재 별 형성 이론을 구체화하는 중요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알베스 박사는 "다중성계의 별 형성에 관한 이해를 높이려면 쌍성계의 젊은 별에 ... ...
손톱만한 뇌, 손바닥 크기로 부풀려 초미세 세포구조 정밀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4
사진이다. 세포 속 미세섬유의 화질이 개선됐다. 수십nm 굵기의 미세섬유가 한
가닥
한
가닥
세밀하게 보인다.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제공 한국은 조직 팽창 기술에 앞선 나라 중 하나로 꼽힌다. 이 기술은 원래 광유전학 등 생명과학의 판도를 바꾼 기술 개발을 선도해 온 칼 다이서로스 미국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