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통"(으)로 총 7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ㄹ라임 섞이(화질벼ㄹ러예여)포스팅 l20220323
- 조금 탁하지만...저건 딱딱한 아이슬라임을 개조한겁니당 다 똑가튼거라는거ㅎㄷㄷ(은반 죄송ㅎㅐ요!) 양이 아이슬라임으로 2통,반찬통1개 합친거랑똫같아요!!!아 맞ㅊㅜㅁ법은 컨셉입다색만 달르게 한거에여동영상도있는데 에러가뜨네요? ...
- 현민이의 탐구생활#1 적무 새싹키우기기사 l20220320
- 6일차(2022.3.18) 하룻밤 사이에 한 1cm는 자란 거 같아요! 사진으로만은 다 담아낼 수 없어서 슬프네요ㅠㅠ 그리고 물이 담겨있는 통에도 뿌리가 있는데, 너무 얇고 하얀빛이여서 안보여요......(약간 보이네요!) 7일차(2022.3.19) 마지막날! 씨였던 것에 비해 매우 커졌고, 뿌리도 2배는 길어졌어요! 이제 ...
- 귀여워야 산다!기사 l20220313
- 눈은 크고 코는 작은 경우가 많은데요. 오스트레일리아의 콘라드 로렌츠 박사가 '아기 이론'을 알아냈습니다. 작은 몸, 큰 머리, 통통한 팔 다리가 귀여움을 느끼게 해준다는 이론이죠.(수학동아 2020 9월호 참고) 출처:https://www.fmkorea.com/index.php?document_srl=4149952900&mid=best&c ...
- [발명과 발견2] 산소, 어떻게 발견 되었을까?기사 l20220312
- 두껑이 열렸는데 옆에 있던 촛불의 불이 더 강해 졌습니다. 프리스틸리는 그것이 신기해서 실험을 했습니다. 쥐 두 마리를 각각 통에 넣고, 한 마리에에만 그 정체 모를 기체를 넣었습니다. 시간이 지나자 어떤 기체를 넣어 놓은 쥐만 살아있고, 다른 쥐는 죽었습니다. (쥐가 매우 불쌍 합니다 ㅠㅠ) 그러나 산소 발견을 완성시킨 사람은 라부아지에라고 ...
- 하루살이는 하루만 사는 게 아니다?!(이야기 형식)기사 l20220312
- 살까? 한번 실험해 봐야겠어. 김외롬 씨(김씨)는 많은 종의 하루살이를 잡아 통에 넣고 며칠을 사는지 확인해 보았다. 그러자, 보통 하루살이는 평균 2~3일을 살고, 길게 사는 것은 최대 3주까지도 살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김 씨:아니?! 당장 이 사실을 곤충학회에 알려야겠어!! 김 씨는 연구 자료를 서류에 써서 곤충학 ...
- (뜰팁X쿠키런) 휴먼쿠키 18화: 동아리가 없어진다고...?포스팅 l20220312
- 우리 엄마도 돌려주라고 챙겨줬거든. 엄마들은 왜 매앤~날 반찬통, 반찬통, 하는 걸까." "그니까." 잠뜰이 가방 속에서 작은 통 2개를 내밀자 라더는 그걸 제 가방 속에 넣으며 말했다. 잠뜰이 슬쩍 웃으며 야, 나 아이스크림 사줄게, 대신 나 좀 놀아줘, 했다. 라더는 잠깐 고민하다가 말했다. "돈 ...
- 새싹 키우기탐사기록 l20220312
- 생명과학 수업에서 곡물손난로 만들기를 했었는데 그 때 사용하고 남은 씨앗을 심어봐도 좋다고 하셔서 집에 있던 콩나물 키우기 통에 물과 함께 넣었습니다.싹이 조금씩 나오는 것 같아서 조금 더 지켜보려고 검은 뚜껑 덮어두었더니 어느새 싹이 엄청 많이 자랐네요.겉보리가 제일 빨리 자라는 것 같아요. 팥은 곰팡이가 조금 생겼고 병아리콩은 통통 ...
- 전전전세포스팅 l20220308
- やっと眼を覚ましたかい それなのになぜ眼も合わせやしないんだい?「遅いよ」と怒る君 これでもやれるだけ飛ばしてきたんだよ心が身体を追い越してきたんだよ君の髪や瞳だけで胸が痛いよ同じ時を吸いこんで離したくないよ遥か昔から知る その声に生まれてはじめて 何を言えばいい?君の前前前世から僕は 君を探しはじめたよそのぶきっちょな笑い方をめがけて やってきたんだよ君が全然全部なくなって チリヂリになったって ...
- 서천 국립생태원에 갔다왔습니다.(놀라운 동물들)기사 l20220307
- 합니다. 또한 신진대사율이 낮아 보통 은신처에 숨어서 지낸다고 합니다. 지중해관에서는 포토존이 인상깊었습니다. 벌래잡이 통같이 생긴 곧에 들어가서 찍는 것입니다. 이어서 극지관이 있습니다.이곳에는 박재된 동물이 대부분입니다.학과 같이 찍는 포토존도 있었습니다. 이제 신기했던것 탑 3를 발표하겠습니다! 3위!!!! ~~~~~~~바로바 ...
- 불이나는 이유는 뭘까?기사 l20220307
- 기름은 물 위에 뜨기 때문입니다. 2) 전기 누전으로 불이 났을 때 이때도 물을 뿌리면 안됩니다. 물 때문에 전기가 오히려 더 잘 통 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 불을 끄려면 산소를 차단하는 방법을 이용해야 합니다. 소화기를 쓰는 방법이 가장 좋지만 꼭 119를 먼저 부르세요!! (출처: 제가 그리고 찍은 그림입니다.) 제 기사는 여기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