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워터스 영국 레스터대 명예교수와 사이먼 터너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교수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인류세의 기준이 될 GSSP를 뽑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 밝혔다.doi: 10.1126/science.ade2310 약 13년에 걸친 인류세 선정 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이다. 인류세가 새로운 지질시대로 공인 ... ...
- 물속 생활 즐긴 공룡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2008년 몽골 고비사막에서 물속 사냥을 하는 신종 육식공룡을 발견해 2022년 12월 1일 국제학술지 ‘커뮤니케이션즈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학명은 ‘이가 많은 수영하는 사냥꾼’이란 뜻이다. 연구진은 ‘조류’를 제외한 공룡 중에서 물속 생활을 한 공룡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물에 사는 ... ...
- [Research] 모든 한옥 지붕이 사이클로이드는 아니에요!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친구들을 모아서 2022년 7월부터 연구를 시작했어요. 12월 10일 열린 수학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장려상도 탔습니다. Q. 연구를 어떻게 진행했나요?김나리 한옥 지붕의 어느 부분이 사이클로이드인지 알기 위해 검색해 보니 여러 인터넷 뉴스나 책에서 내림마루가 ... ...
- [기획] 암호화폐 벌면 기후변화 빨라지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배출원이 될 수 있다. 지난 1월, 수미야 수드하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IEEE 마이크로’에 근미래 전체 차량 중 95%가 자율주행차량으로 대치된다면, 자율주행차량이 지금의 데이터 센터가 매년 배출하는 탄소보다도 더 많은 양의 탄소를 배출할 것이라고 예측했다.doi: 10.110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에너지 위기 시대, 초내열 금속이 해결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장관상,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 2022년 대한금속학회 동국송원학술상을 수상했다. ‘모던 알키미스트’ 등의 책을 저술했다. szhan@kims.re ... ...
- [과동키즈] “과학자의 현장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하던 미국 하버드대의 바히드 타록 교수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게 됐다. 한국 학술진흥재단의 지원금을 받아 30대 초반이라는 다소 늦은 나이에 미국으로 향했다. 새로운 분야를 탐험하는 물리학자의 삶 하버드대에서는 크게 세 가지 경험을 했다. 첫째는 강의. 가르치는 일은 언제나 가장 ... ...
- [People] 15년 연구 덕질의 성과! n차원 별자리 정리 증명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이해할 수 있도록 간결하게 수정해 2022년 4월 인터넷에 공개했습니다. 이 논문은 현재 학술지에 게재 신청을 한 상태로, 수학자들의 검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최영주 POSTECH 수학과 교수는 “정수론에서 가장 찾고 싶은 것 중 하나가 소수의 규칙인데 그린-타오 정리 증명으로 그중 하나를 발견한 ... ...
- [이달의 뉴스] “누구 없나요?” 남극 동식물 65% 사라질 위기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연구팀이 2100년까지 남극 대륙 토착 동식물 종이 65% 감소할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학’ 2022년 12월 22일자에 발표했다. 현재 남극에 가장 위협적인 요소로는 지구 온난화를 꼽았다. 연구팀은 연간 2300만 달러(약 287억 원)를 투입해 위험 요소들을 관리하면 2100년까지 동식물 ... ...
- [이달의 과학뉴스] 바이러스 먹고 사는 플랑크톤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할테리아(Halteria)가 바이러스만 섭취해도 성장과 번식이 가능하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022년 12월 2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73/pnas.2215000120 할테리아는 길이가 15~35㎛(마이크로미터㎛는 100만분의 1m)인 구형의 원생생물이다. 입 주변 섬모를 활용해 먹이를 ... ...
- [특집] 논란의 그를 직접 만나봤습니다, 챗GPT와의 인터뷰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논문이 등장했습니다. Doi: 10.48550/arXiv.2212.08104 이어 챗GPT로 작성된 사설도 올해 1월 국제학술지 ‘실전에서의 간호교육’에 수록됐죠. 챗GPT는 사설의 2저자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습니다. Doi: 10.1016/j.nepr.2022.103537 문제는 챗GPT가 ‘너무 사람처럼’ 글을 쓴다는 겁니다. 미국 노스웨스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