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절함
d라이브러리
"
타당함
"(으)로 총 458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세계적 과학전문지가 최근 영화 ‘니모를 찾아서’에 주목했다. ‘네이처’가 지난 2월 19일자에 ‘니모를 찾아서’의 자문과학자 아담 서머스 박사에 대한 특별인터뷰를 실은 것이다.니모를 찾아서는 올초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제7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장편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하기도 ... ...
사고방식에도 국경이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미국 유학 시절 감기에 걸려 병원에 간 적이 있다. 의사의 진찰이 끝난 후 필자는 감기에는 어떤 음식을 피해야 하는지를 물었다. 그런데 의사는 매우 당황한 듯 질문을 다시 해달라고 요구했다. 필자는 발음을 못 알아들어서 그러려니 하고 천천히 질문을 반복했지만 의사가 기껏 해준 말은 “아 ... ...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영화 ‘슈퍼맨’의 주인공 크리스토퍼 리브는 날기는커녕 이제 걷지도 못하고 있다. 말에서 떨어지면서 척추를 다쳐 꼼짝없이 휠체어에 갇혀 지내게 된 것. 그러나 슈퍼맨은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다. 줄기세포로 손상된 척추 신경세포를 재생한다는 것이 그의 꿈이다.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교 ... ...
1 21세기, 촉각을 재발견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여자를 멀리하던 독신의 조각가 피그말리온. 로댕만큼이나 뛰어난 예술가였던 그는 혼신의 힘을 다해 지상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이상적인 미를 지닌 여인상을 조각한다.자신도 모르게 아름답지만 차가운 대리석일 뿐인 조각상을 사랑하게 된 피그말리온은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에게 조각상에 ... ...
2010년 우주정거장에 한국인 보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중국의 유인우주선 발사 성공에 즈음해 우리나라의 유인우주계획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한국의 유인우주계획은 이미 ‘국가우주개발 중장기기본계획’에 의해 2015년까지의 일정이 세워져 있다. 현재는 이 기본계획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상황이다. ... ...
2 온몸으로 느끼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서울 근교의 한 대학병원. 수련의 김씨의 이마에 땀방울이 송글송글 맺혀있다. 김씨는 지금 간에 생긴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을 집도하는 중이다. 복부를 절개해 고정한뒤, 환부를 찾아 상태를 살펴보고 종양을 도려내기 위해 메스를 쥔 손가락에 힘을 준다. 순간 비상벨이 김씨의 귓가를 때린다. 비 ... ...
목숨 걸고 경고음 내는 땅다람쥐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어젯밤 칠레산 와인의 향기가 채 가시기도 전에 다윈의 식탁 둘째 날이 밝았다. 오늘은 “이타적인 행동이 어떻게 진화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해 열띤 토론이 전개될 것이다. 이 쟁점은 좀더 전문적으로는 “자연선택이 어떤 수준에서 작용하는가?”라는 물음이 될 수 있다. ‘이기적 유전자 ... ...
고등학생 영어로 물리난제풀이 경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지난 8월 13부터 15일까지 부산교육대에서는‘제3차 한국 청소년물리공동탐구토론대회’(KYPT, Korean Young Physicists’ Tournament)가 열렸다. KYPT는 국제 물리공동탐구토론대회(IYPT)의 국내대회라는 성격을 지닌다. 한국영재학회는 한국과학재단의 지원으로 2000년부터 2년에 걸친 기초조사와 국제대회 참관 ... ...
1 체온 2℃만 내려도 1백50살까지 산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사랑하는 마음을 채 전하지도 못했는데, 애인이 그만 식물인간이 되고 말았다. 당신이라면 어떻게 하겠는가. 이젠 그녀를 그만 잊고 새로운 사랑을 찾아 떠날텐가, 아니면 의식불명의 그녀 곁에서 못다한 사랑을 마저 불태울 것인가.웬 느닷없는 사랑타령인가 하겠지만 영화 ‘Forever Young’(한국 개 ... ...
생명체 복잡성 실체는 항공망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1953년 4월 생물학을 전공한 왓슨과 물리학을 전공한 크릭의 절묘한 만남으로 DNA 이중나선구조에 관한 논문이 발표됐다. 그리고 50년이 지난 2003년 4월 14일 국립인간게놈연구소(NHGRI)는 인간게놈 염기서열을 99.99% 해독했다고 발표했다. 인간의 DNA가 담고 있는 31억2천만개 염기서열의 유전자 정보지도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