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가
인척
겨레
가족
가정
집안
친족
d라이브러리
"
친척
"(으)로 총 40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사람에게 들어간다 하더라도 곧바로 사람에게 감염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아프리카의
친척
인류는 계속해서 초식동물을 먹었고, 결국 어느 순간 그 안의 기생충이 사람에게 정착해 자손을 번식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한 개체가 다른 개체에서도 번식에 성공하는 과정을 ‘숙주변환’이라고 ... ...
늑대와 개의 차이는 OOO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그렇게 가깝다면서?저희가 늑대보다 공격성도 적고 사람과 더 친하게 지내고 있지만
친척
이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지요. 늑대와 개 모두 식육목 개과에 속하는 동물이거든요. 저희의 조상은 동아시아 늑대예요. 사람들이 사냥에 쓰려고 우릴 가축으로 만들었죠. 지금은 반려동물로 사랑받고 있고요. ... ...
‘킹콩’이 살아 있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인간이라는 무시무시한 천적의 눈을 피하기 위한 고육지책이 아닐까요. 그들은 거대한
친척
, 기간토피테쿠스의 멸종에서 배웠는지 모릅니다. 유인원의 가장 무서운 천적은 인간이라는 사실을요 ... ...
‘너’와 ‘나’를 잇는 끈 협력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않으면 살 수 없는 시기입니다. 인류는 호모 속(종보다 상위 개념)이 막 태어났을 때,
친척
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속에 비해 외모는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비슷하게 작고 약했으며 머리가 좋지도 못했습니다. 하지만 하나가 달랐습니다. 호모 속은 처음 지구에 나타나던 시기부터 서로 도왔습니다 ... ...
[W5 코드 브레이커] 카이사르의 죽음을 예견한 치환 암호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못한 카이사르적이 많았던 카이사르는 결국 암살당하게 된다. 그런데 암살당하기 직전에
친척
으로부터 암살 계획이 있다는 암호가 담긴 편지를 받는다. 그 편지에 적힌 암호는 아래와 같다. EH FDUHIXO IRU DVVDVVLQDWRU↓암호 해독BE CAREFUL FOR ASSASSINATOR(암살자를 조심하라)하지만 카이사르는 암살 경고를 ... ...
[매스미디어] 수학으로 인간과 친해지길 바라~! 허당 몬스터들의 천국 몬스터 호텔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분장을 하게 된다. 그리고는 다른 몬스터들에게 자신을 프랑켄슈타인의 머~언
친척
인 ‘조니슈타인’이라 소개하며, 인간이라는 사실을 숨긴 채 그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린다.이렇게 다들 조니를 환영해 주었지만, 드라큘라는 행여 다른 몬스터들이 조니가 사람이라는 사실을 알아챌까 전전긍긍하며 ... ...
벌 vs 등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않아요. 등에등에는 벌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사실 파리의 일종이에요. 벌과는 아주 먼
친척
이랍니다. 하지만 편하게 살아가기 위해 힘이 센 벌의 무늬와 색깔을 흉내 냈지요. 벌의 독침과 집단공격이 무서워 적들이 함부로 다가오지 못하거든요. 이렇게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다른 생물의 ... ...
과학으로 먹는 맛있는 과일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살에 소금을 조금 발라…, 소금? 수박에 소그음?”온 가족과
친척
들이 모여 송편도 만들고, 과일도 깎아 먹는 추석 연휴가 시작됐지만 다본이는 그 즐거운 시간을 함께 할 수 없었다. 앞으로 40일 밖에 남지 않은 수능 때문이다. 3일 놀고 평생 놀겠냐는 부모님과 친구들의 설득에 독서실에 나와 잘 ... ...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만나기 전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곧 만나게 될 생각에 가슴 설레어 하면서요. 명절에 일가
친척
이 모인다고 하면 흔히 할아버지, 할머니 댁을 방문하는 모습을 상상합니다. “건강하게 오래오래 사세요”라며 덕담도 하죠.장수는 예전부터 모두의 바람이었습니다. 하지만 시대가 많이 바뀌었습니다. ... ...
초기 인류, 혼자가 아니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1470’이라고 이름 붙인 화석을 하나 발굴했다. 두뇌 크기가700cc 대로 당시 존재하던 다른
친척
인류에 비해 컸다. 비슷한 시기에 존재하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는 뇌 용량이 400~500cc 정도였다.이 화석은 단 한 구의 화석만 발굴됐다. 그래서 기존에 존재하던 종의 약간 다른 형태(이형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