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첫째"(으)로 총 1,421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작품 ‘사과(위)’와 ‘딸기’. 같은 개수씩 줄 맞춰늘어놓은 듯 보이지만 첫째 줄과 마지막 줄에 있는 사과는 다른 줄보다 하나씩 더 많은15개씩이다. 또 딸기는 줄기가 꼬부라져서 노인의 지팡이를 연상시킨다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의한 진화다. 자연 선택은 세 가지 조건만 충족되면 언제 어디서나 반드시 일어난다. 첫째, 변이다. 한 종에 속한 개체들은 저마다 조금씩 다르다. 나는 내 가족들, 내 이웃들, 다른 나라 사람들과 키, 성격, 지능, 다리 길이 등에서 다르다. 둘째, 유전이다. 변이 가운데 어떤 것들은 부모에서 자식으로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리뷰 오브 이뮤놀로지’에 발표한 논문➌(goo.gl/7MrU5O)에서 관용을 네 가지로 구분했다. 첫째는 무시와 침묵이다. 면역계가 장내 미생물을 공격하지 않는 사례, 뇌․눈․생식세포에서 염증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사례가 여기 포함된다. 둘째는 병원균이 내뿜는 독성이나 숙주의 면역물질이 세포를 ... ...
- 등검은말벌 대한민국을 공격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강한 생존력으로 도심에서도 살아남아등검은말벌이 문제가 되고 있는 건 크게 두 가지다.첫째는 생존력이 강해 도심에서도 잘 살아남는다는 점이다. 도심에서 잘 살아남는 만큼 사람을 공격할 확률도 매우 높다. 토종말벌은 먹이의 제한으로 도심에서는 잘 살지 못하지만, 등검은말벌은 꿀벌, 파리, ...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함수 해가 존재하는지 아직 모른다. 채 교수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첫째, 나비어-스톡스 방정식이 자격 미달의 틀린 방정식일 가능성입니다. 둘째는 난류 자체가 충격파처럼 불연속적인 지점이 나타나는 물리현상일 가능성이죠. 난류를 보는 패러다임 자체가 달라진다는 ... ...
- [참여] 수학의 신대륙을 찾아서 신일고 Math Pioneer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수학 영재캠프’를 떠난다. 올해는 8월 2일부터 4일까지 3일간 캠프를 진행했다. 첫째 날에는 ‘과학창조한국대전’을 관람하고, 둘째 날에는 국가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슈퍼컴퓨터와 첨단과학기술연구망을 견학했다. 저녁 시간에는 학생들이 준비한 세미나를 진행하며 열띤 토론을 벌였다 ...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정확해야 할까? 킵 손은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에게 다음 두 가지 원칙을 제안했다. 첫째, 확립된 물리법칙에 위배되는 것은 아무 것도 없어야 한다. 둘째, 모든 과감한 사변은 과학에서 나온 것이어야 하며, 작가의 풍부한 상상력에서 나온 것이어서는 안 된다.이 원칙은 중요하다. 하지만 과학이론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했다. 그렇다면 지구형 행성은 얼마나 많을까?생존권역을 주목하자지구형 행성의 첫째 조건은 지구와 비슷한 크기와 질량이다. 암석형이면서 대기를 잡아 두고 생명체가 생활하기 적당한 중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조건은 물이 액체로 존재하는 0~100℃ 사이의 적당한 온도다. ... ...
- [생활] 수학으로 사랑을 이해할 수 있을까? 네이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쓰는 십진법과 달리 이진법은 왼쪽 자리로 갈수록 자리가 나타내는 값이 2배가 된다. 첫째 자리는 1(=20), 둘째 자리는 2(=21), 셋째 자리는 4(=22)의 자리다. 예를 들어 5는 1×22+0×21+1×20이므로 이진수로 나타내면 101(2)이 된다.] 수학을 즐기고 있나요?영화에는 수학에 재능이 있는 사람이 여럿 나온다. ...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것도 심각한 문제였다. 적어도 네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첫째, 역학적 해석은 중력장 방정식에서 시공간의 구조를 표현하는 왼편은 아무런 실제적인 의미도 갖지 못하며, 단지 물질의 존재를 표현하는 오른편만이 물리적인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중력장이란 것은 실체가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