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파수"(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저르퍼시의 추측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색칠 문제는 여러 분야에 쓰입니다. 예를들어 라디오 방송을 위해선 최소 몇 개의 주파수가 필요한지 구할 때 쓰입니다. 라디오 송신탑의 거리가 가까우면 혼선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지요. 고속버스 회사가 정해진 버스 노선의 시간표를 모두 운행하고자 할 때 필요한 최소 버스 수를 구할때도 ... ...
- [News & Issue]골목길 튀어나올 사람 미리 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거울’처럼 이용했다. 거울은 표면에 들어온 빛을 입사각 그대로 반사시키는데, 주파수가 극도로 짧은 레이저를 이용하면 거친 바닥으로도 이런 현상을 재현할 수 있다. 연구팀은 레이저 빔이 출발한 뒤 검출기에 기록되기까지의 시간 차이를 이용해 물체와의 거리를 역으로 계산했다.이 기술은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것과 비슷한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 유리잔은 다른 소리에는 전혀 반응하지 않다가 특정 주파수의 소리를 만나면 그 에너지에 의해 산산조각 난다. 이처럼 자기장 내에 있는 구조물의 공명 진동수와 액시온의 질량이 맞아 떨어질 경우 공명이 일어나 광자가 공간에 있는 전기장을 흔들게 된다. ... ...
-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양자 얽힘 현상을 표현했다(생성된 광자의 에너지가 줄어든 것을 표현하기 위해 낮은 주파수를 의미하는 붉은색의 드레스를 입었다). “물리학은 말로 설명할 때보다 춤과 같은 비언어적인 매개로 설명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저는 좋은 과학자가 좋은 예술가도 될 수 ... ...
- 나방과 박쥐의 끝없는 생존경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박쥐가 이 주파수 영역의 초음파 소나를 이용해요. 그래서 일부 박쥐는 초음파 소나의 주파수를 30kHz보다 더 낮게 만들거나, 50kHz보다 훨씬 높게 만들어 이용하기 시작했어요. 그러면 나방은 박쥐의 초음파 소나를 잘 듣지 못하고, 박쥐는 이런 나방을 잡아먹을 수 있지요.또 다른 방법은 박쥐의 ... ...
- 나는 드론 위에 막는 안티드론 기술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밴드는 산업이나 과학, 의료 분야에서 고주파 에너지를 가할 때 쓸 수 있게 지정해놓은 주파수 대역으로, 이것을 쏘면 드론 주변에 강력한 전자기장이 형성돼 내부의 전자회로가 망가진다. 드론디펜더의 유효 사격 각도는 30° , 사정거리는 최대 400m이다. 배터리는 최대 5시간까지 간다.과거에도 ... ...
- 스스로 자유를 찾은 돌고래 삼팔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종류의 초음파 빔을 만들어서 동시에 사용한다고 해요. 두 개의 초음파 빔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고 있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보낼 수 있지요. 삼팔이는 분명 두 개의 초음파 빔을 이용하여 잘 보이지 않는 바닷속에서도 지형지물을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었을 거예요. 그리고 가두리의 조그만 ...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소리를 지각하는 청각기관) 구조를 해석했다. 그 결과 티라노사우루스는 저음파(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는 동물이었음이 밝혀졌다. 티라노사우루스와 같은 시기에 살았던 초식공룡들은 저음파를 이용해 의사소통을 했는데, 티라노사우루스는 이들의 대화소리를 멀리서도 들을 수 ...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수 있다. 송신부 코일에서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만들어내면,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진 수신부 코일에 집중적으로 전기가 전달되는 원리다. 이 방식을 이용하면 수 m 내외까지 무선으로 전력을 보낼 수 있지만, 민감도가 높아져 온도변화와 같은 주변 환경 변화에 따라 효율이 크게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가 있어요. MRI는 강한 힘을 지닌 커다란 자석이에요. 이 안에 사람이 들어가면 높은 주파수를 가진 전자파를 순간적으로 발사해요. 그러면 잠시 뒤에 뇌에 흡수됐던 전자파가 다시 방출돼요. 이 신호를 컴퓨터가 계산해서 뇌의 속을 보여 주는 영상을 만드는 거예요.성능이 좋은 MRI가 개발되면서 뇌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