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봉
이동
선두
위치를 바꾸기
라인맨
모래주머니
선구
d라이브러리
"
전위
"(으)로 총 243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생명의 국경선 생체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하는데 대개 60-90mV로 세포막의 안쪽이 바깥쪽에 비해 음전기를 띤다(그림5). 이런 휴지
전위
를 유지하기 위해 신경세포막에는 이온 펌프와 이온 채널이라는 두 종류의 단백질이 작용하고 있다.신경세포막의 안쪽은 바깥쪽에 비해 ${K}^{+}$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Na}^{+}$의 농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 ...
1965년 노벨화학상 우드워드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그 생성 메커니즘은 확실하지 않았다. 이때 우드워드는 메커니즘상으로 보아 원자들이
전위
돼 생합성이 된다는 가설을 제시했는데, 후에 이 가설이 옳은 것으로 밝혀졌고, 블로크 교수는 나중에 노벨상을 수상했다.탐험가이며 전략가1970년대에 들어서자 유기합성은 단순한 합성 목표물의 정복에서 ... ...
1. 21세기 황금알을 낳는 거위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무리 복잡한 화학반응 속에서도 리튬이 산화될 때 만들어지는
전위
차는 고유하다는 이야기다.더 높은 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전지를 적당히 직렬로 연결해야 한다. 노트북 PC의 전지를 살펴보면 19.5V 이상의 전압이 표기돼 있다. 이것은 19.5V 전지 1개가 있는 것이 아니라 3.6V ... ...
3. 생명현상 조절하는 생체전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정보 전달을 조절할 수 있는 시대가 올 수도 있다. 갈바니의 ‘동물전기’세포내
전위
차를 발견한 것은 아니지만 살아있는 세포 조직이 전기에 대해 반응을 일으키는 현상을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의 해부학 교수였던 루이지 갈바니가 처음 관찰했다. 갈바니는 헌신적이고 학구적인 의사로 ... ...
2. 호주머니 속의 발전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약한 고분자전해질은 부분적으로 용해되거나 또는 물러진다(연화). 이 때문에 전류와
전위
가 균일하지 못해 단락의 원인이 되고 궁극적으로 화재와 폭발의 위험성을 안고 있다.마이크로시대의 개척자,리튬박막전지현대는 마이크로시대. 극소형 마이크로머신이 의료분야 등 여러 곳에서 등장하고 ... ...
4. 자연법칙에 반하는 공중부양, 반중력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첫째 특수하게 수련한 사람에게 일어나는 육체의 조절 현상이며, 둘째 중력의 일시적인
전위
현상 또는 반중력 현상이 발생한다는 설명이다.여기서는 인간이 상상할 수 없는 초능력에 대해서는 거론하지 않겠다. 다만 두번째 설명인 일시적인 반중력 현상의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보자. 결론을 미리 ... ...
번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가진 사람은 일단 번개의 표적이 되기 쉽다. 동시에 전하가 많이 모여 있는 뾰족한 곳(
전위
차가 큰 곳)을 찾기 때문이다.번개가 칠 때 가장 안전한 곳은 피뢰침이 있는 건물 내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건물 내부에서도 주의해야 할 일이 있으며, 더욱이 실외라면 어떻게 몸을 피해야 할지 알아둘 ... ...
노벨화학상/보이어·워커·스코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나트륨이온이 밖으로 배출되면 세포막을 경계로 전기적인
전위
차가 얻어진다. 이러한
전위
차는 신경자극을 통해 신경섬유나 근육세포로 자극을 전달시킨다. 뇌에서 산소부족현상이나 영양결핍으로 ATP의 형성이 정지되면 동시에 이온펌프의 작동이 정지돼 결과적으로 의식을 잃게 된다.이러한 ... ...
2. 카오스 이론으로 스트레스 측정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피질에 있는 신경세포가 활동하게 되는데, 수많은 신경세포들의 활동이 머리 표면에
전위
차를 만들어 뇌파를 형성한다. 예전에는 뇌파가 냉장고의 윙윙거리는 소음처럼 아무 정보가 없는 불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뇌파가 무작위적으로 발생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뇌의 ... ...
1. 당신을 해피룸으로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뇌파를 이용했다. 머리 표면에 전극을 부착하면 뇌
전위
를 측정할 수 있다. 사람의 뇌
전위
는 보통 수십 μV정도로 매우 미약하고 0.1Hz에서 40Hz의 주파수 영역을 갖는다.이중 10Hz 전후를 알파(α)파라고 하는데, 눈을 감고 있거나 안정한 심리상태에서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안정파라고 한다. 한편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