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재단"(으)로 총 95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은 왜 반도체 강국이라면서 소재산업은 부실한가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국내 소재 분야 전반을 진단했다. 양과 질 우수한 국내 소재 연구올해 6월 한국연구재단이 발표한 ‘2007~2017 주요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실적 비교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1년 간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저널에 발표된 우리나라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은 총 4396건이다. 미국(7만4400건), ... ...
- 질소, 질식 기체 오명 벗고 인류 책임진 슈퍼 히어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질소는 냉동 및 건조가 필요한 곳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알코어생명연장재단은 불치병을 고칠 수 있는 미래를 기다리며, 냉동 인간 190여 명과 냉동 반려동물 30마리를 액체질소 탱크 안에 보관하고 있다. 현재 과학자들은 냉동 인간을 만들 때 가장 큰 기술적 장애물인 세포가 얼면서 ... ...
-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서울 도봉구 창3동에서 어린이집 20개, 주택 50여개를 칠했지요. 올해는 영국 공익재단 ‘네스타’가 여는 ‘밀리언 쿨루프 챌린지’에 도전하려고요. 누가 흰 페인트를 많이 칠하나 겨루는 세계대회예요. Q 많은 일을 했는데, 자신이 누구라고 생각하세요?저는 건축가예요. 생각하고 만드는 일을 ... ...
-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생명체도 지금처럼 염기쌍이 두 종류만 있었을까. 스티븐 베너 미국 응용분자진화재단(FfAME) 박사는 여기에 강한 의구심을 품었다. 현재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합성 생물 제외)의 염기쌍은 피리미딘과 퓨린 등 두 계열의 염기로 이뤄져 있다. 다시 말해 구아닌(G), 시토신(C), 아데닌(A), 우라실(U, 또는 ... ...
- 문화재님, 안녕하세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고민을 수학으로 해결해 드리는 유튜브 채널 ‘수학상담소’입니다. 오늘은 특별히 문화재를 주제로 많은 분들의 걱정을 해결해 드리려고 합 ... 교수), 안재홍(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이병호(국립중앙박물관 전시과장), 정훈진(한국문화재재단 조사연구2팀장 ... ...
- 수학 문화재는 어떻게 알아보나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기록됐다는 것을 알게 됐거든요.사정은 이렇습니다. 유물을 처음 발견한 건 한국문화재재단의 조사팀이었습니다. 당시 현장에서 나무판 세 개가 나왔는데, 백제시대 목간이라고 추정할 뿐 적힌 내용을 알아보기가 어려웠습니다. 적외선 촬영을 통해 한자가 쓰여 있었다는 것을 어렴풋이 알 수 ... ...
- [언니오빠 논문 연구소] 치타가 던진 숙제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유지하려고 애쓰고 있습니다.관련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2013년 게놈연구재단과 테라젠이텍스, 에버랜드동물원 등 공동연구팀은 대표적 멸종위기종인 호랑이의 유전자 지도를 완성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연구로 옛 한국호랑이의 모태가 되는 시베리아호랑이가 백호랑이보다 유전적 ... ...
- [3·1 운동 100주년] 조선 독립의 숨은 주역,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교수), 국립해양박물관, 대한적십자사, 독립유공자유족협회, 민속원, 한국의사100년기념재단 ▼관련기사를 더 보려면?Intro. 조선 독립의 숨은 주역, 과학 Part1. 나라를 구한 의학!Part2. 독립운동의 비밀 병기, 암호! Part3. 과학으로 독립운동 ... ...
- [화보] 회색 도시를 빛으로 물들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됐다. 빛의 관측소 (L’Observatoire de la lumière, travail in situ)프랑스 파리에 있는 루이비통재단미술관은 돛 모양의 구조물 12개가 겹쳐진 굉장히 복잡한 건물이다. 2016년 5월 뷔렌은 여기에 격자무늬 형태로 13종류에 이르는 색 필름을 부착해 새롭게 장식했다. 판유리 3528개 중 1472개에 색을 입혔 ...
- 2019 과학계 파워피플 7인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토대로 ‘과학계 파워피플’을 최종 선정했다. 선정위원회 위원장은 노정혜 한국연구재단 이사장이 맡았고, 김승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포스텍 대학원장), 김정호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전 KAIST 연구처장), 이병권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향숙 이화여대 수학과 교수(전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