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방"(으)로 총 1,6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자와 떠난 ‘언택트’ 여름 휴가,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백신을 한 번만 맞아도 감염을 93% 예방하지만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이처럼 높은 예방률을 얻을 수 없는 바이러스”라며 모임을 줄이고 마스크 쓰기 등 위생 수칙을 일상화하는 삶이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을 예고했다. “인류는 경험과 지식으로 감염병에 맞서”의학사 연구의 권위자인 이 교수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곰팡이 식빵이 보내온 경고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자극이 가는 부작용이 있어 주의해야 한답니다. 코로나19의 유행으로,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손 씻기’라는 사실이 잘 알려졌어요. 하지만 유엔총회에서 10월 15일을 ‘세계 손 씻기의 날’로 정하며, 2008년부터 손 씻기의 중요성이 널리 알려졌죠. 지난해 10월, 우리나라 ... ...
- [팩트체크] 인공물과 새의 충돌, 막을 수는 없을까?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것인데요. 이는 영국과 미국, 일본 등 다른 나라에서도 권장하는 보편적인 충돌 사고 예방법입니다. 문제는 이런 맹금류 스티커를 붙이는 적정 간격이나 크기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국내에 아직 없다는 점입니다. 이런 경우 오히려 새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맹금류 스티커가 붙지 않은 공간은 ... ...
- [융복합 파트너 @ DGIST] 로봇공학전공, 피부에 '착' 전자 피부로 실시간 건강 진단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꽤어려워요 | 융복합 파트너 @ DGIST 까만 마이크로칩이 콕콕 박혀 있는 실리콘 패치를 팔목에 갖다 대자 곧바로 휴대폰 애플리케이션(앱) 화 ... “전자 피부로 건강 상태를 수시로 체크해, 질병이 발생하기 전에 먼저 알아낼 수 있는 예방의학 목적의 제품도 개발하고 싶다”고 밝혔다 ... ...
- 박람이가 남긴 마지막 선물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설계를 하고 있습니다. 박람이의 새끼들은 더 넓은 곳에서 뛰놀며 근골격계 질병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겠죠. ‘어쩌면 박람이가 새끼들에게 주고 간 마지막 선물이 아닐까’하고 생각해 봅니다. {수의사의 호랑이 육아기} 2006년 8월 30일 | 이호와 수호가 태어난 날 호랑이 ‘청호’가 새끼를 ... ...
- [1회] 수학미식회, 데이터 맛집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수 있습니다. 특히 소외되는 학생들을 찾아내 왕따나 학교폭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죠. 소셜네트워크 분석 전문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기업인 사이람은 2016년 서울특별시교육청과 함께 26개 중학교 학생 4400명의 교우관계를 분석했습니다. 학생들에게 친하게 지내는 ...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수 있다. 하지만 최선은 탐사하려는 지역의 히든 크레바스를 사전에 파악해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 극지연구소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2019년부터 남극 대륙의 미개척지를 탐사하는 연구자들을 위해 인공위성으로 히든 크레바스를 찾아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숨겨진 크레바스를 찾는 데는 ... ...
- 논란 많은 러시아 백신 집중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9호
- 9 확산을 막기 위해 전 세계에서 적극적인 방역 조치가 이뤄지고 있어 백신의 감염 예방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역이 많지 않다. 바이러스가 꾸준히 확산되는 지역이 아니라면, 백신을 접종한 사람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는 이유가 백신 효과인지 아닌지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렵다. 때문에 ... ...
- 바이러스 사냥으로 미래 유행할 전염병을 예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된다”고 말했답니다. ●인터뷰 - 철새 도래지에서 새 똥을 주우면 신종 독감 예방 가능?!나운성(전남대학교 수의학과 교수) 나운성 교수는 인수공통감염병의 출현을 감시하기 위해 박쥐를 포함해 다양한 동물 바이러스를 조사하고 있어요. 한국의 ‘바이러스 사냥꾼’을 만나 보세요 ... ...
- 최적의 방역 정책 만드는 비결은? 수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수학자로서 의사, 간호사 등과 일하면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협업해야 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걸 깨달았어요. 생물학자와 역학자, 의사가 정보를 주면 수학자가 미래 감염자 수를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 전문가가 정책을 실행하거든요. 한국 의료계에서도 수학자와의 협력 체계를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