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합"(으)로 총 985건 검색되었습니다.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2017년 4월 12일, 전 세계의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Event Horizon Telescope)’ 프로젝트 참여자들은 오랜만에 편안하게 잠자리에 들 수 있었다. 다가올 데 ... 책임연구원으로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 한국 책임자를 맡고 있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UST) 교수로도 활동 중이다. bwsohn@kasi.re ...
- Intro. 올림픽의 그늘 - 지구인의 축제, 환경엔 재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안녕하더래요~. 강원도 산골에서 태어나 가리왕산에서 뛰놀던 고라니예요. 몇 년 전에 올림픽을 한다며 사람들이 저희가 살던 곳을 파괴해 식구들과 함께 다른 곳으로 이사했지요. 그런데 얼마 전 저희가 살던 곳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다는 소문이 퍼졌어요. 정말인가요? Intro. 올림픽의 그늘 - ... ...
- Part 3. 올림픽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자연 훼손부터 어마어마한 쓰레기까지 올림픽은 그야말로 환경에게 재앙이네요! 엇, 그런데 환경을 보호하려 노력한 올림픽도 있다고요? 경기장과 환경, 두 마리 토끼 잡기! 1994년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올림픽은 환경을 생각한 최초의 올림픽으로 꼽혀요. 아이스하키 경기가 열렸던 ‘ ... ...
- Part 5. 작은 축제에서 찾아보는 올림픽의 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사람들도 올림픽의 부작용을 줄일 방법을 다양하게 고민하고 있군요. 작은 것부터 차근차근! 지역 축제에서 환경을 위해 하는 노력들을 배워보는 건 어떨까요? 환경을 생각한 디즈니월드의 불꽃! 축제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불꽃놀이는 상당한 대기오염을 일으켜요. 매년 열리는 인도 디왈리 ... ...
- [동아리탐방] 수학 보드게임 들고 전국으로! 거제연합수학동아리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가르쳐 보고 싶다”는 바람도 생겼다. 각자 다른 학교를 다니고 있지만 1년 동안 거제연합수학동아리라는 이름으로 모여 수학 보드게임을 하고 우정을 쌓으면서 동아리원들의 생각과 꿈은 몰라보게 자라 있었다 ... ...
- Part 2. SPORTS, ENERGY, VITAMIN, COFFEE과학동아 l2019년 02호
- WHO)의 비타민C 하루 권장 섭취량은 45mg, 미국국립과학원은 남성 90mg, 여성 75mg, 유럽연합(EU)은 80mg을 권고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권장 섭취량은 100mg이다. 비타500이나 오로나민C 하나만 마셔도 이미 권장 섭취량의 몇 배를 먹는 셈이다. 사실 비타민C는 수용성이라서 우리 몸에 필요한 양보다 많이 ... ...
- [이달의 PICK] 올해는 너로 정했어, ‘루비 초콜릿’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탄생하지 않을까. ● 초콜릿 풍미가 다양한 이유 로잔 프레이타스 슈완 브라질 라브라연합대 생물학과 교수팀은 초콜릿이 다양한 풍미를 갖는 이유를 분자 단위에서 찾았다. 연구팀은 카카오빈이 발효될 때 시간에 따라 우위를 점하는 세균이 달라지면서 다양한 산물이 순서대로 만들어지고, 이에 ... ...
- Part 2. 日 2040년 문 밸리 건설, 지구-달 오가는 ‘달 셔틀’ 운영과학동아 l2019년 01호
- Express)’, 이스라엘의 ‘스페이스IL’, 인도의 ‘인더스(Indus)’, 미국, 영국, 독일 등의 연합팀인 ‘문 시너지(Moon Synergy)’를 포함해 총 5개 팀이 올랐다. 요시다 교수는 “루나 X프라이즈에서 제시한 미션은 달에 착륙한 뒤 달 표면에서 500m를 이동하며 고화질 사진과 영상을 지구로 전송할 로버를 ... ...
- [지구사랑탐사대] 연어특별탐사, 강을 거스르는 마지막 질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우와! 엄청 커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은 무엇을 보고 이렇게 놀랐을까요? 바로 알을 낳기 위해 바다에서 강으로 돌아온 연어였어요. 지난 11월 4일, 대원들은 강으로 돌아온 연어를 보기 위해 강원도 강릉에 위치한 남대천에 모였어요. 남대천에서 펼쳐진 연어 특별 탐사 현장으로 가 볼까요? ... ...
- Part 1.미래 직업, 삶이 맘에 안 들면 농부가 돼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수에 비해 농산물이 부족한 ‘식량 위기’가 닥칠 거라 예상되기 때문이에요. 국제연합(UN)은 2050년 세계 인구가 97억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어요. 이처럼 인구는 폭발적으로 늘지만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옥수수와 밀 등 주요 식량을 생 산하는 건 점점 어려워지고 있어요. 2017년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