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별
조심
주의
경계
조심성
침착
사려 분별
d라이브러리
"
신중
"(으)로 총 366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상호작용으로 아토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전망이다.그러나 최근 2~3년 사이 터져 나온 성과에도 불구하고 김 교수는 상용화 전망에
신중
한 입장을 내비쳤다. 당장 내년부터 약국에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치료제가 나올 것을 기대할 수는 없다. 생명과학 연구의 흐름에 비쳐볼 때 상용화까지는 적어도 10년 이상이 걸린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 ...
연료전지 비행기 이륙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알려진 통증치료 방법 중 가장 진보된 방법이지만 모든 경우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니므로
신중
하게 선택해야 한다지구-내행성-태양 순으로 일직선이 된 경우를 말하며 행성이 태양과 같은 방향에 있기 때문에 관측할 수 없다지구-태양-내행성 순으로 일직선이 된 경우이며 역시 관측할 수 없다지구 ... ...
별난 과학, 별난 이름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어떨까. 자신의 이름을 따는 평범한 유형부터 사상과 철학까지 오롯이 녹여내는
신중
파까지 재미있는 과학계의 작명법을 만나보자.신약 장수 비법은 이름?갑자기 몸이 으슬으슬 떨려오고 콧속이 눅눅해지며 뜨거운 불덩이가 뇌와 안구 주위에서 이글거리는 기분이 든다. 감기몸살인가. 병원 가기도 ...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6호
다녀오는 걸 보니….“태풍이야. 조심해야 해.”지금껏 모모와 함께했지만, 저렇게
신중
한 표정을 짓는 건 처음이야. 게다가 낮고 조용한 목소리로‘조심해야 해’라고 말하다니…. 그런데 난 자꾸 신나는걸. 태풍을 뚫고 잠수하는 노틸러스호, 멋지지 않아? 우리는 지금 물 속에 있고 태풍 따위는 ... ...
거울여왕 '에또 반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누르려면 어떤 버튼을 눌러야 할까? 잘못 누르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아무도 모른다.
신중
하게 생각하자. mission 4장난치지 마란 말이야버튼을 누르자 거울여왕이 나타났다. 물론 의자에 꽁꽁 묶여 있는 다무러도 함께 나타났다.“용케 찾아 냈군. 난 썰렁홈즈에게 나쁜 감정은 없다. 다만 다무러를 ... ...
DAY 7 잠 못드는 우주의 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하이라이트, 우주유영지난 7월 23일 러시아 연방우주청의 알렉세이 크라스노프 국장은 “
신중
하게 검토한 끝에 스페이스 어드벤처스가 제안한 우주유영 관광을 허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우주를 여행한 관광객 4명도 아직 우주유영은 못했다.우주유영은 ISS에서 생활하는 일과는 또 다른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알려진 통증치료 방법 중 가장 진보된 방법이지만 모든 경우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니므로
신중
하게 선택해야 한다지구-내행성-태양 순으로 일직선이 된 경우를 말하며 행성이 태양과 같은 방향에 있기 때문에 관측할 수 없다지구-태양-내행성 순으로 일직선이 된 경우이며 역시 관측할 수 없다지구 ... ...
발해의 닻을 올려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추정할 수도 없다. 바다 속 유물이기 때문이다.필자가 의구심을 가지자 라트니코프 씨는
신중
하게 대답했다. 우선 지리적으로 후루겔므 섬은 발해의 주요 동해항인 포시에트와 인접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태풍 등 기상 조건이 나쁜 경우에는 선박의 피난처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또 라트니코프 씨는 ... ...
과학으로 미래를 내다본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그런 값을 ‘위험요소’(리스크)라고 한다. 리스크가 큰 대상을 예측할 때는 당연히 더
신중
해져야 한다. 반면 리스크가 작은 대상은 적절한 값을 예측치로 가정해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론과 경험을 결합해야지금은 세계 수준의 에어컨을 생산하고 있는 LG전자도 1992년 수요예측을 잘 못해서 ... ...
왜 우리는 황우석을 믿었는가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갈등의 골이 아주 깊은 것으로 과장해 지각한다. 그러기에 미디어의 보도에는 더욱
신중
을 기해야 한다. 과거 황우석 박사의 연구가 진위와 관계없이 과대포장되고 이를 대중이 추종한 것은 대중매체의 문제점을 여실히 보여준 것이며, 지금도 이 사건은 여전히 다른 사건에 비해 유독 과도하게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