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도"(으)로 총 1,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쇼킹 사이언스] 페루에서 길이 37m 그림 발견! 2000년 된 고양이라옹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달하는 고양이 그림을 나스카 사막에서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나스카 사막은 페루의 수도 라마에서 동남쪽으로 370km 떨어진 곳이에요. 길게는 1.1km까지 뻗은 거대한 그림 ‘나스카 지상화’ 수백 점이 땅 위에 그려져 있는 것으로 유명하지요. 나스카 지상화는 기원전 500년에서 기원후 500년 사이에 ... ...
- [이달의 과학사] 최초로 지구 궤도에 오른 동물 '라이카' 우주로 떠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후반부터 원숭이 실험을 거듭 실패한 미국을 제친 소련이었지요.라이카는 원래 소련의 수도인 모스크바 시내에 살던 떠돌이 개였어요. 소련 과학자들은 이런 떠돌이 개들을 데려와 키우며 우주 훈련을 시켰어요. 그중 똑똑하고 말을 잘 듣는 라이카가 최종 후보로 선발되었죠. 스푸트니크 2호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정체불명의 남자가 놓아준 오작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있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베이루트 폭발 사고와 질산암모늄 지난 8월 4일,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의 항구에서 대규모의 폭발 사고가 발생했어요. 이로 인해 최소 200명이 사망하고, 6500명 이상이 다쳤으며, 30만 명 이상이 집을 잃었어요. 어마어마한 폭발과 피해 탓에 목격자들은 “핵폭탄이 ... ...
- [시사과학] 의사들이 병원을 떠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움직임이 불편한 환자들이 집에서 진료를 받고, 지역 환자들이 의료 체계가 탄탄한 수도권 대형병원의 도움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 하지만 대한의사협회는 직접 만나지 않고 화면이나 음성 등 제한적인 정보만으로 환자에게 진단을 내리면 오진을 내릴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를 제기했어요. ... ...
- [이달의 과학사] 존 스노의 ‘감염지도’, 런던을 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854년 8월 28일, 영국의 수도 런던의 브로드 가. 이곳의 아기 한 명이 콜레라에 걸려 세상을 떠났어요. 그리고 며칠 후부터 콜레라 환자가 쏟아지기 시작했죠. 9월까지 무려 616명의 목숨을 앗아간 ‘브로드 가 콜레라 유행’의 시작이었어요.콜레라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설사예요. 쌀뜨물처럼 ... ...
- [BOOK 소리] 용감한 어린이만 도전하라! 데블X의 수상한 책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만든 것이다. 그리곤 깜깜한 새벽에 학교 건물로 들어가 세면대에 농축 세제를 가득 붓고 수도꼭지를 전부 틀어 학교를 거대한 거품 목욕통으로 바꾸는 데 성공한다. 이 장난은 알베르트의 목표대로 모두를 즐겁게 만들었다. “알베르트는 착한 아이일까? 못된 아이일까? 장난은 웃음을 주는 좋은 ... ...
- [과학뉴스] 지구사랑탐사대, 신종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수원청개구리보다 서식지가 제한적이고 개체 수도 천여 마리 뿐”이라며 “보호조치가 시급하다”고 말했어요. 이어 “지구사랑탐사대가 수원청개구리 보호를 위해 앞장섰던 것처럼 노랑배청개구리를 지키기 위해 함께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답니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2화. 소중한 수학 가족수학동아 l2020년 12호
- 평범한 사제관계보단 연결고리가 강하죠. 어떻게 보면 ‘성덕(성공한 덕후)’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드 사토이 교수님은 수학자로서도 좋은 스승님이고, 사람으로서도 정말 존경할 만한 멘토가 돼주셨습니다. 졸업하고 독일에 박사후연구원으로 와 있는 지금도 같이 연구를 하며 매주 웨비나 ... ...
- Q&A로 풀어보는 핵융합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반응을 일으키려면 엄청나게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가요? 답은 ‘그럴 수도, 아닐 수도 있다’입니다. 형광등을 예로 들어 보죠. 형광등 내부에 들어있는 전자의 온도는 무려 수천 ℃에 달합니다. 그렇다고 형광등을 켤 때 엄청나게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진 않습니다. 비밀은 무게에 있습니다. ... ...
- [퍼즐라이프] 무엇이 다를까? 칠교와 도형분할 역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보면 몸통의 길이가 다르죠. 이런 현상을 ‘칠교판 역설’이라고 부릅니다.두 명의 수도승 이외에도 칠교판 역설이 나타나는 모양은 무척 많답니다. 착시 예술가 잔니 사르코네가 만든 퍼즐들이 대표적인 예입니다(오른쪽 칠교판 역설 퍼즐). 각각의 모양을 만들어보면서 모양 차이가 생기는 이유를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