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초파리 장 세포에서 새로운 세포 소기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하나 더 추가됐다는 소식이 있어. 나, 과학 마녀 일리가 자세히 알아보고 올게! 자기소개 부탁해. 안녕, 나는 세포야. 크기가 1~100탆(마이크로미터)●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지. 세포 속에서 생명 활동을 조절하는 핵, 에너지를 생산하는 미토콘드리아 등 여러 기관이 각자의 역할을 하는 ... ...
- 폴리매스의 모든 것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진로 관련 기사, 초중고 선생님들이 개발한 수학 체험 프로그램, 실생활 속 수학 사례를 소개한 기사가 단원별로 정리돼 있습니다. 에 대한 소식과 공지사항도 [수학동아]-[수동 안내]에서 볼 수 있어요. 폴리매스에서 영재학교 학생들의 공부 방식, 나아가 수학자의 연구 방법까지 ...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현상 연구에서 한국의 기초과학이 빛을 발할 수 있기를 바라며 글을 마친다. ❋필자소개 김경택. KAIST 물리학과에서 ‘아토초 펄스의 생성과 측정’에 대한 연구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캐나다 국립연구회 및 오타와대 연구위원을 거쳐 현재는 ... ...
- 아이작 뉴턴경, 당신의 생일 파티에 오신 걸 환영하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대학생이에요. 제게 물리학이란 학문을 알려준 ‘아이작 뉴턴’의 덕후고요.” 그의 소개에는 별로 놀랄 것이 없었다. 물리학과 뉴턴을 좋아하는 이가 아니고서야 누가 아이작 뉴턴 생일 카페란 걸 기획하겠는가! 헤오바란 닉네임도 뉴턴이 17세기, 연금술 연구를 위해 썼던 가명에서 따왔다. 아이작 ... ...
- [이참결 독자가 쏘아올린 기사] 우주 팽창의 중심은 왜 존재하지 않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독자기고’ 코너는 과학동아 공식 카페에 올라온 독자 여러분의 이야기를 지면에 소개하는 창이 될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글을 싣기도 하고, 이번처럼 제보해 주신 기사 아이템을 토대로 기자가 발로 뛰며 기사를 완성하기도 할 계획입니다. 혼자 궁금해하고 말기엔 아까운 이야깃거리가 ... ...
- [5년 후, 과학은] 슈퍼커패시터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독자 기술로 슈퍼커패시터를 만들 날이 곧 오리라 생각하며 이 글을 마칩니다. ❋필자소개.전상은. 경북대 신소재공학부 금속신소재전공 교수. 미국 카네기멜런대에서 2011년 재료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같은 대학교와 미국 오리건대의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2016년부터 경북대에서 재직 중이다.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인간이 사라진다면 지구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인간이 사라진 1일 후부터 50억 년 후까지 지구에서 벌어지는 일을 상상해 담은 영상을 소개할게. 이뿐만 아니라 생성 AI를 탑재한 게임 속 NPC의 변신, 똥 모양을 결정하는 요인까지 알려주는 신박한 영상을 잔뜩 준비했어! 어느 날 갑자기 지구상에서 ‘인간’만 사라지게 된다면 지구는 어떻게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어린이를 위한 디지털 경제생활 안내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물 수 있다? 나도 모르게 디지털 세계 안에서 미디어 이용에 대한 대가를 치르는 경우를 소개할게요. 첫 번째로, 나도 모르게 광고판이 되는 경우입니다. 어린이들이 많이 이용하는 무료 영상 제작 애플리케이션이 대표적인 예이죠. 무료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대신, 영상에 해당 회사의 ... ...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건강과 국가의 생존에 필수적인지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필자소개남재환. 보건연구사와 보건연구관으로 근무했으며, 미국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다양한 질병을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발표된 논문을 분석했다. 분석에 활용된 논문은 노벨 위원회가 이들의 핵심 논문으로 소개한 논문 중에서 가장 출판 시기가 빠른 것을 선정했다. 논문이 출판된 학술지의 2023년 IF를 분석한 결과, 전체 논문 38편 중에서 IF가 20을 초과한 것은 17편, 20 이하인 것은 21편으로 드러났다. 가설과 다르게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