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지
생육지
서식환경
자생지
원산지
본바닥
d라이브러리
"
서식지
"(으)로 총 554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 생태연구자 봄을 봄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위해 5년째 개구리와 도롱뇽의
서식지
를 찾아다니고 있답니다. 올 봄에는 우리나라 전체
서식지
중 총 50곳을 위도별로 골고루 골라 찾아갔지요. 누구보다 먼저 보려고 서둘렀기 때문에, 어쩌면 이 친구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나자마자 본 사람이 저일지도 몰라요! 어쩌다 마주친, 파충류와 여러 ... ...
지구사랑탐사대 7기 발대식! 2500명이 생태계 지키러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생태 연구를 해나갈 거예요. 장이권 교수는 “우리나라 남쪽에 있는 수원청 개구리
서식지
를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한 대원도 있다”며, “올해도 힘차게 진행해서 수료식 때 여러분을 꼭 보기를 바란다”고 말했답니다 ... ...
[가상인터뷰] 수원청개구리를 지켜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보호하기 위해 논문을 발표했어. 연구를 이끈 장 교수와 볼체 박사는 우리의
서식지
중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이 현재 한 군 데도 없다면서 보호구역 지정의 필요성을 강조했어. 일반 청개구리는 4~5월쯤 논이나 습지에서 짝을 만나 알을 낳곤 가을철 산으로 이동해. 초겨울 무렵엔 상대적으로 ... ...
[과학뉴스] 남쪽으로 날아가던 제왕나비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하지 않았다”며 “이주 특성을 잃어버린 제왕나비가 겨울을 날 수 있는 따뜻한
서식지
로 이동하지 못하면서 개체 수는 더욱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73/pnas.190469011 ... ...
[과학뉴스]대서양에 나타난 8850km 해조류 벨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사이언스’ 7월 5일자에 발표했다. 갈조식물의 일종인 모자반은 다양한 해양 생물에게
서식지
를 제공하고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만들어 해양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개체수가 너무 많아지면 연안 해양생물의 서식에 방해가 된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운용하는 ... ...
상어가족보다 힘센 동물은 인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이는 인간의 활동 때문이에요. 유엔환경계획(UNEP)은 매일 상어 17~75만 마리가 남획과
서식지
파괴, 해양 쓰레기 섭취 등으로 죽는다고 추정하지요.포식자인 상어가 줄어들면 다른 생물에도 줄줄이 영향을 미쳐 해양 생태계 전체에 큰 변화가 일어날 수 있어요. 2013년에는 지구온난화로 위기에 처한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정할 때 각국의 자연환경이 흡수할 수 있는 탄소량이 중요한 기준이 되는데, 블루카본
서식지
가 넓으면 높게 평가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사람에게 불필요하다고 여겨졌던 염생식물의 가치가 높아진 이유다. ▲ 강화도에 위치한 강화갯벌센터에서 박흥식 KIOST 책임연구원(왼쪽 서 있는 사람)이 ... ...
[해외취재] 장이권 교수님과 야생 속으로 GO! 생생 대만 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이후 10여 년 간 하천 모니터링 자원봉사자들을 선발하고, 수질 검사 방법과
서식지
를 복원해야 하는 이유 등에 대한 다양한 워크샵을 꾸준히 실시했어요. 그 결과 이인천은 다양한 생물의 터전으로 회복됐고, 지역마다 하천 감시팀을 구성하도록 하는 국가 정책이 만들어졌어요. 현재 전국 406팀( ... ...
Part 3. 나가고 싶지 않아요! 먹지 말아 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곤충 대표 나비 발언! - 나가고 싶지 않아요! 산천어들이 본래
서식지
가 아닌 곳에 가두어진다니, 정말 끔찍하네요. 우리 나비들의 사정도 아주 곤란해요. 물론 우린 자연으로 풀려나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결코 좋은 게 아니라구요. 기후와 생태에 맞지 않는 나비 축제 매해 4월 말에서 5월 초 ... ...
Part 3. 올림픽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부지에서 멸종위기종이었던 녹색황금늪개구리 300마리를 발견했어요. 시드니 당국은
서식지
를 보호하기 위해 약 80억의 손해를 감수하고 원래의 계획을 바꿔 경기장 대신 생태공원을 조성했답니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